北 뺀 6자 참가국 “北 비핵화 대화 빨리”

北 뺀 6자 참가국 “北 비핵화 대화 빨리”

입력 2015-01-27 00:32
업데이트 2015-01-27 03: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교부 “절차 등 조기 가동 공감”

외교부 당국자는 26일 북한을 제외한 6자회담 참여국 사이에 북한 비핵화 대화 절차를 조기에 가동할 필요가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지난해 6자 프로세스를 재개하는 것과 관련된 우리의 구상인 소위 ‘코리안 포뮬러’를 만들어 상당히 집중적으로 협의한 결과 개념적으로 세 가지 공감대가 형성됐다”면서 “북핵 능력이 고도화되는 지금의 현상을 시급히 타개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과 비핵화 대화 프로세스를 조기에 가동할 필요가 있다는 점, 실질적 비핵화 협상을 재개하고 끌고 나가기 위한 창의적 방안을 협의할 필요가 있다는 데 (북한을 제외한) 5자 간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올해는 이러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완전한 북한 비핵화를 위한 6자 프로세스가 본격 가동될 수 있도록 주도적, 적극적 노력을 견지하고자 한다”면서 “이 과정에서 6자회담 틀 내의 소다자(少多者), 양자, 3자협의를 활성화하고 북핵 관련한 남북 간 직접 협의도 모색하고 추진해 나가려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6자회담 참가국인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가 세계 최강대국에 속하는데 이들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목표에 한목소리를 낸다는 것은 그렇게 흔한 일이 아니다”라면서 “이것은 우리에게 외교적 자산이지만 이 나라들이 북핵 문제와 관련해 어떤 이해관계를 다 갖고 있다는 것은 외교적 도전이기도 하다”고 지적했다. 최근 불거지고 있는 한·미 양국 간 대북정책 온도 차 지적에 대해서는 즉각 진화에 나섰다. 이 당국자는 “작년 말에 북한 인권 문제가 안전보장이사회 의제가 되는 등 크게 이슈화됐고 소니 해킹 사건 이후 미국이 행정명령을 내려 북한에 대한 압박이 강화된 것은 사실”이라면서 “하지만 이것이 미국이 북한에 대해 대화의 문을 닫았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도 미국 소니 해킹 청문회에서 북한과의 인게이지먼트(engagement·관여)에 항상 문을 열어 놓고 있다고 강조했다”면서 “양국은 북한 문제 전반에서 긴밀한 공조를 유지하고 있고 한·미 간에는 한 줄기의 빛이 샐 틈도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28일에는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회의가 일본 도쿄에서 열릴 예정이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5-01-27 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