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탐지거리 5500km 이상의 초대형 장거리 조기경보레이더를 최소한 4개 보유하고 있는 사실이 지난해 8월 인도 등의 언론매체를 통해 보도된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이 탐지거리 1000~2000km 안팎인 미군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극력 반발하고 있으나, 정작 자신들은 이미 2008년부터 사드의 감시 범위를 3배 이상 뛰어넘는 초대형 레이더 감시 체계(LPAR, C밴드 활성위상배열 레이더 시스템)를 가동하고 있는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인도의 군사전문매체인 인디언디펜스뉴스는 지난해 8월 “중국이 장거리 미사일을 감지하는 초대형 레이더 실체가 드러났다”고 보도한 것으로 19일 확인됐다.
10m 건물 높이의 이들 중국의 레이더는 8각형 평면 안테나 형태로, 미국 공군우주사령부가 탄도 미사일 발사 감시용으로 운용하는 페이브 포(PAVE PAW)와 거의 동일한 형태다. 미국의 페이브 포 레이더는 탐지거리가 반경 5500km에 이른다.
특히 중국 북동부 지역 헤이룽장성의 우주관제센터에 설치된 장거리 레이더는 5500㎞ 밖의 타깃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500㎞의 탐지 범위는 1500㎞ 거리에 있는 한반도 뿐 아니라 일본 열도를 넘어 필리핀 등 서태평양 지역의 미군 전력까지도 포함한다. 외신 등에 따르면 이 레이더는 3000km 밖에 있는 골프공의 궤적을 식별할 수 있을 만큼 뛰어난 성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레이더 시스템은 중국을 향해 발사된 탄도미사일을 즉각 격추시킬 요격체계도 갖추고 있다.
LPAR는 중국 북서부 지역의 신장성과 남동부 지역의 복건성 혜안현, 내륙의 쓰촨성 등에도 배치돼 있다. 신장성의 감지 시스템은 시베리아 지역 감지용으로, 복건성의 레이더는 대만과 남중국해, 알래스카 지역을 탐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분석된다. 쓰촨성의 LPAR는 인도 지역 감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상하이의 시사평론 사이트인 관찰자망(觀察者網·Guancha Syndicate)은 중국이 여러 지역의 레이더를 통해 광범위한 탄도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평가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중국이 탐지거리 1000~2000km 안팎인 미군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극력 반발하고 있으나, 정작 자신들은 이미 2008년부터 사드의 감시 범위를 3배 이상 뛰어넘는 초대형 레이더 감시 체계(LPAR, C밴드 활성위상배열 레이더 시스템)를 가동하고 있는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인도의 군사전문매체인 인디언디펜스뉴스는 지난해 8월 “중국이 장거리 미사일을 감지하는 초대형 레이더 실체가 드러났다”고 보도한 것으로 19일 확인됐다.
10m 건물 높이의 이들 중국의 레이더는 8각형 평면 안테나 형태로, 미국 공군우주사령부가 탄도 미사일 발사 감시용으로 운용하는 페이브 포(PAVE PAW)와 거의 동일한 형태다. 미국의 페이브 포 레이더는 탐지거리가 반경 5500km에 이른다.
특히 중국 북동부 지역 헤이룽장성의 우주관제센터에 설치된 장거리 레이더는 5500㎞ 밖의 타깃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500㎞의 탐지 범위는 1500㎞ 거리에 있는 한반도 뿐 아니라 일본 열도를 넘어 필리핀 등 서태평양 지역의 미군 전력까지도 포함한다. 외신 등에 따르면 이 레이더는 3000km 밖에 있는 골프공의 궤적을 식별할 수 있을 만큼 뛰어난 성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레이더 시스템은 중국을 향해 발사된 탄도미사일을 즉각 격추시킬 요격체계도 갖추고 있다.
LPAR는 중국 북서부 지역의 신장성과 남동부 지역의 복건성 혜안현, 내륙의 쓰촨성 등에도 배치돼 있다. 신장성의 감지 시스템은 시베리아 지역 감지용으로, 복건성의 레이더는 대만과 남중국해, 알래스카 지역을 탐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분석된다. 쓰촨성의 LPAR는 인도 지역 감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상하이의 시사평론 사이트인 관찰자망(觀察者網·Guancha Syndicate)은 중국이 여러 지역의 레이더를 통해 광범위한 탄도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평가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