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이 노딜 이후에도 ‘北美 친서’는 계속…김정은, 트럼프에 “한미훈련 계속해 불쾌”

하노이 노딜 이후에도 ‘北美 친서’는 계속…김정은, 트럼프에 “한미훈련 계속해 불쾌”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20-09-13 22:22
수정 2020-09-14 01: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밥 우드워드 ‘격노’에서 공개

트럼프 “北도 코로나에 호되게 당해
김 위원장 간사·교활하지만 똑똑해”
北 ICBM 겨냥 “전쟁에 가까웠다”


김정은 “한국군은 우리 군 상대 안 돼”
이미지 확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6월 판문점 북미 정상 만남 뒤에도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중단되지 않았다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내 노골적으로 불만을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12일(현지시간) 인터넷 매체 복스의 앨릭스 워드 기자 트위터 등에 따르면 15일 발간되는 ‘워터게이트’ 특종기자 밥 우드워드의 신간 ‘격노’에 이런 내용이 담겼다. 우드워드는 두 정상 간에 오간 27통의 친서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8월 5일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낸 친서에 “한국군은 우리 군의 상대가 되지 않는다”며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중단되지 않은 것에 대해 “매우 불쾌하다”고 썼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에게 “3페이지의 매우 아름다운 친서”라고 소개했었다.

2018년 싱가포르 1차 북미 정상회담 이후 곧바로 경색 국면이 된 이유는 북한의 종전선언 요구를 미국이 수용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또 지난해 2월 하노이 2차 북미 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은 영변 핵시설 폐기를 제시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핵시설 5곳을 지목하고 모두 폐기하라고 압박했다. 김 위원장이 버티자 트럼프 대통령은 “당신은 나의 친구다. 하지만 당신은 합의할 준비가 안 됐으니 난 떠나야겠다”고 한 뒤 일어섰다.

코로나19와 관련해서도 지난 3월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은 알려진 것보다 훨씬 심각하게 코로나에 두들겨 맞았다”며 “북한에서도 그들이 호되게 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당시 북한은 공식적으로 확진자가 없다는 입장이었다.

또 미 중앙정보국(CIA)은 김정은에 대해 “간사하고 교활하며 궁극적으로 멍청하다”고 평가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간사하고 교활하며 매우 똑똑하고 터프하다. 그들(CIA)은 (김정은에 대해) 모른다”고 했다.

이 외 2017년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를 의미하는 듯 트럼프 대통령은 “사람들이 아는 것보다 더 (전쟁에) 가까웠다”고 말한 부분도 포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고모부(장성택)를 죽였고 그 시신을 고위 관료들이 이용하는 건물의 계단에 뒀다. 그의 잘린 머리는 가슴 위에 놓였다”고 설명한 뒤 “거칠다고 생각하는가. 그들(북한)은 미국 정치가 거칠다고 생각한다”고도 했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 kdlrudwn@seoul.co.kr
2020-09-1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5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4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