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종전선언 파급력 우려해 신중 접근
검토 안 끝나 구체적 답변 회피 분석도
美 “한미 논의 건설적” 거부는 아닌 듯
정부도 “진지하고 심도 있는 협의 진행”
방러 정의용 “러와 대북 대화 재개 논의”
답변하는 설리번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26일(현지시간) 백악관 브리핑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워싱턴 UPI 연합뉴스
워싱턴 UPI 연합뉴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26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미국이 종전선언을 얼마나 진지하게 고려하냐’는 질문에 “우리는 각각의 조치를 위한 정확한 순서, 시기, 조건에 관해 다소 다른 관점을 갖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답했다. 성 김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최근 워싱턴과 서울에서 노규덕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을 만나 한국 정부의 입장을 확인한 뒤 미측도 입장을 정리해 밝힌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그간 한미 안보실장, 북핵수석대표 간 접촉을 하면서 종전선언에 대한 미국의 이해도가 깊어졌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설리번 보좌관의 발언을 보면 아직까지 한미 간 완전한 의견 일치를 이루진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정부는 종전선언이 현 정전체제의 법적·구조적 변화를 의미하지 않는 상징적 조치라는 입장인데, 종전선언이 ‘작은 균열’이 돼 예상치 못한 파장을 일으킬 것이란 의견도 있다. 홍민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종전선언 이후 유엔사, 주한미군, 한미동맹 등 모든 것이 국내외적으로 정치적 쟁점화되고 주변국의 대미 외교적 공세의 소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설리번 보좌관이 최근 한미 북핵대표 협의에 대해 “매우 생산적이고 건설적이었다”고 평가한 것을 감안하면 종전선언 논의 자체를 거부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우리 정부도 “진지하고 심도 있는 협의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국이 아직 종전선언에 대한 검토가 끝나지 않아 구체적인 답변을 피하려 했다는 분석도 있다. 설리번 보좌관은 답변 중 종전선언 논의에 대해 “공개적으로 언급하고 싶지 않다”는 뜻을 두 차례 밝혔다. 이정철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는 “미측으로선 북측이 화답할 것이란 보장이 없는 상태에서 먼저 제안하는 것에 대한 부담과 주한미군 지위 변화에 대한 고민 등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27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한러 외교장관 회담 직후 “현 상황에서 한반도 정세의 안정적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대북 대화의 조속한 재개를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말했다.
2021-10-28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