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에 있는 서해 위성발사장 이동식 건물 외벽이 해체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미국의소리(VOA)가 26일 보도했다. 실제 발사를 위한 것인지 주목된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 제임스마틴 비확산센터가 공개한 민간 위성사진업체 ‘플래닛 랩스’ 위성사진에는 평소 하얀색으로 찍혔던 이동식 건물 북서쪽 외벽이 지난 24일자 위성사진에서는 뜯긴 듯 내부가 드러나 있다. 내부의 왼쪽 절반은 황색 물체로 채워져 있고 나머지 절반은 비어 있다. 이 매체는 앞서 11일 촬영 사진을 분석해 이 건물이 원래 위치에서 서쪽으로 약 40m 이동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동창리 서해발사장은 서쪽 끝 부분에 로켓을 쏘아 올리는 발사대(갠트리 타워)가 있고, 반대편 약 120m 지점에 로켓 추진체를 조립하는 주처리 건물과 이를 수직으로 세우는 조립 건물이 있다. 외벽에 변화가 생긴 건 조립 건물이다. 이 조립 건물 바닥에는 선로가 깔려 있어 동쪽의 주처리 건물과 서쪽의 발사대를 오갈 수 있다. 위성사진 전문가인 데이비드 슈멀러 제임스마틴 비확산센터 선임연구원은 VOA에 “북한이 무엇을 할지 현재로선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면서 “시간이 지나면 그들이 하는 일이 무엇인지 정확히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해 위성발사장에서는 지난 3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현대적 개건·확장’을 지시한 이후 계속 공사 동향이 포착돼 군 당국도 주시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관련 시설과 활동을 그동안 면밀하게 추적·감시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에 있는 동해 로켓발사장에도 최근 변화가 감지됐다. VOA는 구글어스 위성사진 판독 결과 발사대에서 서쪽과 동쪽으로 200m 떨어진 지점에 각각 빨간 지붕 주택 63채와 10채가 들어선 모습이 보인다고 전했다. 매체는 이 대규모 주택단지가 작년 8월부터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고 했다.
동해 위성발사장은 동창리 서해 위성발사장과 사실상 같은 기능을 하는 곳이지만 1990년대 건설된 이래 인공위성이 성공적으로 발사된 적은 없다. 슈멀러 선임연구원은 북한이 로켓 발사 핵심 시설이 밀집한 지대에 주택단지를 건설한 것은 동해 위성발사장이 더는 활용되지 않고 있다는 뜻이라면서, 북한이 동해 시설보다 서해 발사장 운용에 더 집중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 제임스마틴 비확산센터가 공개한 민간 위성사진업체 ‘플래닛 랩스’ 위성사진에는 평소 하얀색으로 찍혔던 이동식 건물 북서쪽 외벽이 지난 24일자 위성사진에서는 뜯긴 듯 내부가 드러나 있다. 내부의 왼쪽 절반은 황색 물체로 채워져 있고 나머지 절반은 비어 있다. 이 매체는 앞서 11일 촬영 사진을 분석해 이 건물이 원래 위치에서 서쪽으로 약 40m 이동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동창리 서해발사장은 서쪽 끝 부분에 로켓을 쏘아 올리는 발사대(갠트리 타워)가 있고, 반대편 약 120m 지점에 로켓 추진체를 조립하는 주처리 건물과 이를 수직으로 세우는 조립 건물이 있다. 외벽에 변화가 생긴 건 조립 건물이다. 이 조립 건물 바닥에는 선로가 깔려 있어 동쪽의 주처리 건물과 서쪽의 발사대를 오갈 수 있다. 위성사진 전문가인 데이비드 슈멀러 제임스마틴 비확산센터 선임연구원은 VOA에 “북한이 무엇을 할지 현재로선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면서 “시간이 지나면 그들이 하는 일이 무엇인지 정확히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해 위성발사장에서는 지난 3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현대적 개건·확장’을 지시한 이후 계속 공사 동향이 포착돼 군 당국도 주시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관련 시설과 활동을 그동안 면밀하게 추적·감시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에 있는 동해 로켓발사장에도 최근 변화가 감지됐다. VOA는 구글어스 위성사진 판독 결과 발사대에서 서쪽과 동쪽으로 200m 떨어진 지점에 각각 빨간 지붕 주택 63채와 10채가 들어선 모습이 보인다고 전했다. 매체는 이 대규모 주택단지가 작년 8월부터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고 했다.
동해 위성발사장은 동창리 서해 위성발사장과 사실상 같은 기능을 하는 곳이지만 1990년대 건설된 이래 인공위성이 성공적으로 발사된 적은 없다. 슈멀러 선임연구원은 북한이 로켓 발사 핵심 시설이 밀집한 지대에 주택단지를 건설한 것은 동해 위성발사장이 더는 활용되지 않고 있다는 뜻이라면서, 북한이 동해 시설보다 서해 발사장 운용에 더 집중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민간 위성사진업체 ‘플래닛랩스’가 지난 24일 북한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을 찍은 위성 사진 속에 발사장 중심부의 이동식 조립건물(화살표)의 벽면이 뜯겨져 있다. 제임스마틴 비확산센터는 26일 위성사진을 공개하며 “이동식 건물에서 작업 공간을 만들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미국의소리 캡처
미국의소리 캡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