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지키는 군인은 누가 돌봐주나요”…장병 1000명당 軍의사 1명도 안 된다

“나라 지키는 군인은 누가 돌봐주나요”…장병 1000명당 軍의사 1명도 안 된다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4-09-24 10:28
수정 2024-09-24 1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군인 자료사진. 서울신문DB
군인 자료사진. 서울신문DB


최근 의정 갈등 속 의료 대란 사태가 길어지는 가운데 군대 의료를 책임지는 군의관 숫자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4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황희 의원에 따르면 현재 12개 군 병원에는 군의관 506명과 의사 군무원 31명 등 의사 537명이 근무하고 있다.

군인과 군무원은 총 54만 6000여명으로, 장병 1000명당 군 의사 1명이 안 되는 셈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023 보건 통계에 따르면 2021년 우리나라 인구 1000명당 활동 의사는 한의사를 합쳐 2.6명이다. 군은 그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OECD 전체 국가 평균은 3.7명이었다.

황 의원은 “장병 1000명당 군 병원 의사 수가 우리나라 전체의 반토막도 되지 않고, OECD 국가와 비교하면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면서 “최첨단 무기보다 더 중요한 것은 군인들 건강”이라고 강조했다.

올해 1~8월 군 병원 외래 진단명을 보면 디스크인 추간판 장애가 6.41%로 가장 많고 기타 관절 장애가 5.89%로 뒤를 이었다. 입원 환자 진단명도 추간판 장애가 8.68%로 가장 많았다.

과도한 신체 사용에 따른 것으로, 이는 군인의 직업적 특성인 만큼 더욱 촘촘한 관리와 이를 위한 의료 인력 증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황 의원은 “병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료 관리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