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도피 16년 北기관원 김종률씨의 마지막 소원
6일(현지시각) AFP 통신이 오스트리아에서 만난 북한의 전직 군수담당 정보기관원 김종률 씨(75)의 얼굴에선 가족에 대한 그리움, 죽음에 대한 두려움, 북한의 모순을 폭로한 보람 등이 미묘하게 교차했다.20년간 오스트리아 등 유럽 주요국에서 군수.산업 물자를 사들여 북한에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했던 김 씨는 최근 ‘독재자에게 봉사하며(At the dictator’s service)’라는 제목의 자서전을 출간, 김일성 주석의 사치스러운 사생활을 폭로했다.
김 씨는 “내가 빛의 영역으로 나오긴 했지만 언제까지 내게 태양 태양이 비칠지는 나도 잘 모르겠다”며 “짧은 시간이 될 것 같다”고 운을 뗐다.
충성스러운 당원이었던 그는 1994년 10월18일 오스트리아에서 죽음을 위장하는 방식으로 탈북했다. 안위를 염려해 탈북 계획은 가족에게도 일절 얘기하지 않았다.
1994년 김 주석의 사망은 그에게 희망을 줬다. 김 주석이 죽으면 혁명이 일어날 것으로 생각했다. 바라던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김 씨는 그의 가족과 관련된 소식을 전혀 듣지 못했다. 가족에게 편지를 보내는 것이 매우 위험스러운 행동이라는 것을 그는 잘 알고 있다.
김 씨는 집에 TV 5대를 갖고 있다. 북한에 대한 뉴스를 더 많이 접하려고 일본어를 독학하기도 했다.
지금은 돌아갈 수 있다는 희망을 거의 버렸다.
그는 “아들과 딸, 내 가족을 죽기 전에 보는 것이 마지막 소원인데, 그런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을 것 같다”고 털어놨다.
그는 북한의 독재정권이 당분간 붕괴할 가능성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 씨는 16년간을 오스트리아에서 숨어지냈다. 외부에 드러나지 않으려고 친구도 만들지 않았다. 탈출 직전에 빼돌린 돈으로 생계를 유지해 왔다.
그가 통상 산업.군수 물자를 사들인 곳은 오스트리아 빈이었다. 빈은 은행 계좌의 비밀성이 비교적 잘 지켜지고 무역이나 공항 통제가 상대적으로 느슨한 곳이었다.
외교관 여권을 갖고 있던 김 씨는 서류 가방에 현금을 잔뜩 넣고 몇 개월씩 유럽 지역에서 쇼핑(?)을 했다.
30%의 프리미엄을 주면서 물건이 어느 나라로 가는지 따위엔 관심이 없는 소규모 기업들과 주로 거래했다. 오스트리아뿐 아니라 독일.프랑스.체코 등의 기업이 거래 대상이었다.
구입한 물건은 빈 주재 북한 대사관을 경유해 재포장된 후 허위 선적 서류와 함께 이미 매수된 해당국 세관 관계자의 도움을 받아 북한으로 이송되곤 했다.
북한에 대한 책을 출판한 것이 생명에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그도 잘 알고 있다.
그는 “결국은 죽겠죠. 하지만 왜 의미 없이 죽어야 하죠?”라고 반문했다.
김 씨는 오랫동안 기다렸다면서 그래도 남겨놓고 갈 이 책이 있어서 위안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나도 두렵습니다. 나를 죽일 총탄이 어디서 날아올지 몰라요”라며 불안해했다. 하지만 그는 후회는 없다면서 조국을 등진 것은 100% 맞는 결정이었다고 강조했다.
김 씨는 “나를 볼 수 없을 것입니다. 내일이나 모레부터 나는 또 사라질 겁니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