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서 급증하는 휴대전화, 개혁·개방 촉발할까

北서 급증하는 휴대전화, 개혁·개방 촉발할까

입력 2012-11-20 00:00
업데이트 2012-11-20 15: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보 파급효과 제한적” VS “미묘한 변화가능성 주목”

북한에서 많이 늘어난 휴대전화가 ‘평양의 봄’을 촉발할 수 있을까.

근년 들어 급증한 북한의 휴대전화는 전문가들 사이에 북한 문제와 관련된 또 하나의 ‘화두’가 되고 있다.

20일 북한에서 휴대전화사업을 하는 이집트 오라스콤 텔레콤의 나기브 사위리스 회장이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와 회견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북한의 휴대전화 가입자는 최근 150만 명을 돌파했다.

2010년 6월 말 66만 명에서 올해 2월 100만 명을 넘어섰는데 1년도 채 안돼 또다시 50% 증가한 것이다. 150만 명은 북한 전체인구(2011년 기준 2천440만명 추정)의 6% 수준이다.

그러나 이같은 휴대전화 가입자 증가가 북한의 민주화와 정보유통 확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전문가들 전망은 엇갈린다.

현재로서는 ‘비관론’이 우세한 편이다. 북한에서 휴대전화는 체제에 충성하는 소수 엘리트가 독점하고 있고 그나마 유통되는 전화기가 통화기능을 제외한 촬영이나 녹음 등 다른 기능이 대부분 차단돼 있다는 이유에서다.

북한 전문 일본 언론사인 ‘아시아프레스’의 공동대표 이시마루 지로(石丸次郞) 씨는 지난 7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은 작년 10월부터 ‘1913’으로 번호가 시작되는 새 휴대전화기를 보급하기 시작했는데 정보차단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1913’ 기계는 녹음·녹화, 사진전송, 블루투스 기능이 없다. 저장용량은 10∼20 메가바이트밖에 안 되고 메모리카드도 사용할 수 없다고 한다”며 “이전에는 특정지역에서 등록한 휴대전화를 다른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었지만, 이 휴대전화기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북한 당국이 주민들의 통화내용을 수시로 도청하기 때문에 사실상 자유로운 정보유통이 불가능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김종선 연구위원은 “휴대전화 확산이 주민들의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은 되겠지만 문제는 대외개방 여부다. 인터넷이 개방돼 있지 않고 도청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정보 유통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반면 북한내 휴대전화 증가에 큰 기대감을 나타내는 전문가들도 적지않다.

미국의 북한전문 웹사이트인 ‘엔케이뉴스’(www.nknews.org)를 운영하는 태드 파렐 씨는 지난 16일 홈페이지에 올린 ‘북한의 휴대전화 붐 이해하기’라는 글에서 “북한에서 ‘낮은 계급의’ 기업인이 돈을 벌어 휴대전화를 사는 일이 드문 현상이 아니다”며 일부 엘리트 계층만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오라스콤측 보고서와 전문가 분석을 인용, 현재 북한에 ‘3G(세대)’ 휴대전화망이 14개 주요도시, 74개 중소도시, 22개 고속도로 등에서 서비스되고 있고 최소한 125개의 전화기 중개소가 운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휴대전화 가입자가 100만 명이라면 그들의 가족 등 또 다른 300만∼400만 명의 인구가 휴대전화에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사실상 북한인구의 15% 정도가 휴대전화에 대한 접근성을 갖고 있다고 분석했다.

파렐 씨는 북한 내에서의 휴대전화 증가 현상은 개인이 부(富)를 축적하고 중산층이 성장하고 있음을 반영한다며 북한에서 어떤 일들이 벌어지는가를 들여다보려면 그런 미묘한 변화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