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동창리 발사장 옆 정체불명 건물 건설 중”

“北 동창리 발사장 옆 정체불명 건물 건설 중”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7-10-21 09:51
수정 2017-10-21 09: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위성사진 분석...“발사장에서 30여m 떨어진 곳”

북한이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에 있는 서해 미사일 발사장 옆 용도가 불분명한 건물을 짓고 있는 모습이 최근 위성사진에 포착됐다.
북한의 동창리 일대에서 탄도미사일 4발이 발사되는 모습. 도쿄 AFP=연합뉴스
북한의 동창리 일대에서 탄도미사일 4발이 발사되는 모습.
도쿄 AFP=연합뉴스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구글어스’ 서비스를 통해 지난 2일 프랑스 국립우주연구원(CNES)과 에어버스사가 촬영한 동창리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이런 사실이 밝혀졌다.

VOA방송은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서 서쪽으로 30여m 떨어진 공사 현장에 약 30m 길이의 건물 두 동이 최소 1층 높이로 들어선 모습이 포착됐다고 전했다.

두 건물 사이에는 또 다른 건물의 기초로 보이는 콘크리트 형태의 구조물이 6∼7개의 방을 이룬 형태로 들어서 있고 이들보다 작은 또 다른 구조물도 건설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사현장으로부터 200여m 떨어진 지점에는 위장막으로 가려진 미사일 발사대가 있다고 방송은 밝혔다.

위성사진 분석 전문가인 닉 한센 미 스탠퍼드대학 국제안보협력센터 객원연구원은 사진과 관련해서 미사일 발사 과정에서 만약 미사일이 폭발할 경우 직접적인 피해가 갈 수 있는데도 발사장에 바로 인접해 건물이 세워지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고 지적했다.

한센 연구원은 북한이 관측용 건물을 짓고 있다고 추정해 볼 수 있지만 어떤 용도의 건축물이 들어설지는 앞으로 몇 개월간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서해위성발사장“으로 부르는 동창리 발사장에서는 2012년 4월과 12월 은하 3호, 2016년 2월 광명성호 등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가 주로 진행돼 왔다. 2015년에는 단거리 발사체, 2017년에는 중거리 탄도미사일 4발 발사도 이곳에서 이뤄졌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