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국가안보실 소속 직원이 격무로 의식을 잃고 쓰러져 응급 조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지 확대
국가안전보장회의 주재하는 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오후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긴급 소집해 북한의 6차 핵실험과 관련,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왼쪽부터 문 대통령,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조명균 통일부 장관, 서훈 국가정보원장. 2017.9.3 [청와대 제공=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국가안전보장회의 주재하는 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오후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체회의를 긴급 소집해 북한의 6차 핵실험과 관련,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왼쪽부터 문 대통령,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조명균 통일부 장관, 서훈 국가정보원장. 2017.9.3 [청와대 제공=연합뉴스]
청와대에 따르면 국가안보실 한 행정관은 25일 오전 일행과 함께 청와대 춘추관 앞을 지나다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졌다.
일행 중 한 명이 이 행정관에게 심폐소생술을 했고 이 행정관은 의식을 되찾은 뒤 병원을 찾았다. 이 행정관은 몸에 큰 이상이 없다는 진단을 받고 오후 업무에 복귀했다.
청와대 안보실은 북한의 잇따른 도발로 비상대기 체제로 근무하면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수시로 안보 동향을 보고하고 있다. 이 행정관은 과중한 업무 탓에 피로가 누적된 것으로 알려졌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