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경
김미경 기자
안녕하세요. 서울신문 김미경입니다. IMF 직후인 1998년 입사해 워싱턴특파원, 국제부장, 정책뉴스부장, 경제부장, 정치부장 거쳐 문화체육부장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최신 뉴스
  • 하늘이법

    하늘이법

    “앞으로 제2의 하늘이가 나오지 않도록 정부가 ‘하늘이법’을 만들어 심신미약 교사들이 치료받을 수 있게, 하교하는 저학년생들의 안전을 책임질 수 있게 해 달라.”지난 11일 대전의 한 초등학교 교사에 의한 초등생 피살 사건 피해자인 김하늘(8)양의 아버지는 빈소에서 기자들을 만나 이렇게 호소했다. 피해자 가족이
  • 감사의 정원

    감사의 정원

    1950년 6월 25일 발발해 1953년 7월 27일까지 3년간 이어졌던 6·25전쟁. 16개국의 군사적 지원과 6개국의 의료적·인도적 지원 등 모두 22개국 195만명의 참전이 없었더라면 승리로 이어질 수 없었을 것이다. 이들 중 죽거나 다친 사람이 약 15만명. 이름도 몰랐던 머나먼 이국땅에서 숭고한 희생을
  • 인생 이모작

    인생 이모작

    최근 지인들과 함께 저녁식사 겸 담소를 나눌 수 있는 아지트가 두 곳 생겼다. 둘 다 퇴직한 언론계 출신 선배가 가족과 함께 문을 연 작은 식당이다. 한 곳은 책방처럼 꾸며서 책에 둘러싸여 음식을 즐길 수 있고, 다른 한 곳은 가죽가방을 만들고 전시하는 공방을 개조해 전통주와 독창적인 요리를 선보인다. 저녁 약속
  • 태극기는 죄가 없다

    태극기는 죄가 없다

    2002년 6월 한일 월드컵이 한창이던 어느 날 회사 복도에서 대학 동창과 우연히 마주쳤다. 그는 어린 두 딸과 함께 ‘붉은악마’ 복장을 하고 광화문광장에 나와 축구 경기를 응원하다가 화장실을 찾아 인근 건물로 들어왔다고 했다. 친구와 그의 딸들이 허리에 두른 크고 작은 태극기에 미소가 절로 나왔다.한국이 4강까
  • ‘스트롱맨’ 네타냐후의 위기

    ‘스트롱맨’ 네타냐후의 위기

    바야흐로 국제사회는 ‘스트롱맨’의 시대다. 내일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필두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등이 주인공이다. 이들 중 푸틴과 네타냐후는 각각 우크라이나,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전쟁을 벌였다. 21세기 지구촌에서 지금 벌
  • 대통령의 ‘업보’ 서울구치소

    대통령의 ‘업보’ 서울구치소

    경기 의왕시 안양판교로 143. 서울구치소의 주소다. 윤석열 대통령이 그제 체포 직전까지 머물렀던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에서 차로 가면 30~40분 거리다. 대한제국 말기인 1907년 경성감옥으로 문을 열어 서대문형무소로 불리다 1967년 서울구치소로 이름을 바꿨다. 1987년 의왕시로 자리를 옮겼다.서울구치소
  • MZ 대한체육회장

    MZ 대한체육회장

    그제 저녁 윤석열 대통령의 2차 체포영장 집행 예상 시간이 알려질 무렵 체육계에도 핵폭탄급 뉴스가 터졌다. ‘탁구 영웅’ 유승민(43) 전 대한탁구협회장이 제42대 대한체육회장 선거에서 3선에 도전한 이기흥(70) 현 회장을 누르고 당선된 것이다. 다른 후보들의 ‘반(反)이기흥’ 단일화 추진이 불발되면서 이 회장
  • “트럼프, 약속 가장 잘 지키는 대통령… 북미 톱다운은 회의적”

    “트럼프, 약속 가장 잘 지키는 대통령… 북미 톱다운은 회의적”

    美 상하원에 한국계 4명 당선미국은 지금 ‘아시아인의 시대’앤디 김, 실력 있는 라이징 스타주류 정치인 움직여 ‘한미 가교’비전·전략이 있는 트럼프 2기‘MAGA’ 앞세운 사회운동 성공취임 때 국경 장벽 다시 쌓을 것100일간 이민자 조사 등 속도전트럼프 2기, 한미 관계 우려美 관세·방위비 인상 독주 가능韓 어
  • 위장 비우기

    위장 비우기

    최근 ‘건강수명’(기대수명에서 질병 또는 장애가 있는 기간을 제외한 수명)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본 뒤 새해를 맞아 건강수명을 늘리기 위해 뭐라도 해봐야겠다고 결심했다. 그러고는 오랜만에 건강 관련 서적을 찾아 읽었다.일본인 의사인 저자는 ‘건강수명 100세 습관’이라는 제목의 책에서 ‘건강하게 오래 사는 손쉬운
  • 붕세권 동네 이야기

    붕세권 동네 이야기

    동네 길가에 지난 가을부터 붕어빵집이 생겼다. 중년 부부가 좋은 재료로 열심히 만들어 파는 붕어빵의 인기는 뜨거웠다. 지하철역과 가까운 상가 옆에 자리잡아 오가는 주민들의 눈길을 끌었다. 지나갈 때마다 10명 넘게 줄을 서 있기도 했다. 퇴근 시간에 사 먹는 붕어빵 맛은 추위를 녹이기에 충분했다.그런데 언제부턴가
더보기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