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가 그린 초상화가 단돈 1원?

김홍도가 그린 초상화가 단돈 1원?

입력 2010-02-05 00:00
업데이트 2010-02-05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앙박물관 ‘조선시대 초상화Ⅲ’ 발간… 소장내력 등 실어

‘단원 김홍도가 그린 초상화가 1원?’ 보물 제1487호인 ‘서직수 초상’은 1796년 화가 김홍도와 이명기가 각각 몸과 얼굴을 나눠 그린 초상화다. 1916년 국립중앙박물관이 이 초상화를 일본인 소장자로부터 사올 때 가격은 단 1원이었다.

이미지 확대
‘서직수 초상’
‘서직수 초상’


국립중앙박물관은 2007년부터 3년간 소장 중인 초상화 정리작업을 끝내고 이를 최근 ‘조선시대 초상화III’으로 발간했다. 여기에 박물관은 이들 초상화가 박물관에 들어오게 된 내력을 함께 유물카드에 쓰인 가격까지 정리해 실었다.

그 결과 소장 초상화 100여점 중 ‘서직수 초상’은 가격이 1원으로 가장 싸게 거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슷한 시기 구입한 중국의 ‘제갈무후도’가 280원인 것을 보면 굉장히 싼 가격이다.

이에 대한 민길홍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는 “전신을 그린 것이긴 하나 관복이 아니고 사복을 입었다는 점, 당시의 중국 그림 가격이 한국 것보다 훨씬 비쌌다는 점 등을 고려해도 1원은 이례적으로 낮은 가격”이라면서 “김홍도, 이명기에 대한 당대 평가와 초상화에 대한 인식 등을 통해 연구해 봐야 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한편 박물관은 ‘조선시대 초상화Ⅲ’에 1774년에 시행한 과거시험 등준시(登俊試)에서 무과시험에 합격한 18명의 초상화를 묶은 화첩도 공개했다. 전모가 처음 공개되는 이 화첩에는 그간 상대적으로 수량이 적었던 무신 초상화가 대량 포함돼 있다.

또 여기에는 70세 이상 정2품 이상 고위 관직자들의 모임인 ‘기로소(耆老所)’ 회원들의 초상화집인 기해기사첩(己亥耆社帖·보물 929호)과 기사경회첩(耆社慶會帖) 같은 자료도 실었다.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0-02-05 2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