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수혁, 그라운드 사고부터 사망까지

임수혁, 그라운드 사고부터 사망까지

입력 2010-02-07 00:00
업데이트 2010-02-07 1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99년 10월20일 프로야구 플레이오프 롯데와 삼성의 7차전.

 롯데 포수 임수혁은 3-5로 뒤지던 패색이 짙던 9회말 삼성 마무리 투수 임창용을 상대로 동점 2점 홈런을 뿜어냈다.연장전에서 6-5로 역전승해 한국시리즈에 진출한 롯데의 영웅은 단연 임수혁이었다.

 1994년 입단한 임수혁은 야구팬들에게 ‘한 방 있는 공격형 포수’로 자신의 이름을 뚜렷이 각인시켰다.

 그러나 이듬해인 2000년 4월18일 잠실야구장.

 롯데와 LG의 정규 레이스 경기에서 임수혁은 2회 2사 후 5번 지명타자로 타석에 섰다.

 유격수 실책으로 1루에 진루한 임수혁은 후속타자 안타로 2루에 간 뒤 7번 타자 조성환 타석 때 2루 베이스에서 갑자기 호흡곤란으로 쓰러졌다.

 구급차가 들어와 쓰러진 임수혁을 병원으로 옮겼지만 후송 도중 호흡과 맥박이 일시 정지됐다.

 전기충격으로 응급조치를 받고 호흡과 맥박을 되찾기는 했지만 사고 직후 뇌에 산소 공급이 중단됨으로써 임수혁은 이후 의식을 찾지 못한 채 오래도록 병상에 의지해야 했다.

 임수혁 가족은 어떻게든 의식을 되찾게 하려고 백방으로 뛰었다.강남병원,서울 중앙병원,경희의료원,강동성심병원 순으로 병원을 네 곳이나 옮겨 다녔지만 차도는 없었다.

 이때부터 임수혁 가족의 지난한 투병 생활이 이어졌고 동료와 팬들의 온정도 쏟아졌다.

 1년 후 2001년 4월18일 롯데는 사직구장에서 다시 LG와 맞붙었다.이날은 ‘임수혁의 날’로 정해 아들 세현군이 시구를 했고 야구팬들의 심금을 울렸다.

 롯데와 LG뿐 아니라 각 구단 선수들이 ‘임수혁 선수,일어나라’를 외치며 손길을 뻗쳤다.

 프로야구 선수협의회는 자선경매 사이트를 열었고 같은 야구 선수뿐만 아니라 홍명보,안정환,최경주,김동성 등 다른 종목 스포츠스타들이 임수혁 돕기에 한뜻으로 나섰다.

 메이저리그 강속구 투수 랜디 존슨까지 자선 행사에 힘을 보탰다.

 하지만 임수혁의 상태는 전혀 나아지지 않은 채 세월은 흘러갔다.

 엄청난 병간호 비용과 생활고를 호소한 임수혁 가족은 2003년 4월 롯데와 LG를 상대로 8억원의 민사 조정신청을 냈다.

 선수 보호책임이 있는 롯데와 당시 경기의 홈팀인 LG가 심폐소생술 등 응급 구호조치를 제대로 하지 못한 피해를 배상하라는 움직임이었다.그해 7월 서울지법 동부지원은 두 구단에 4억2천600만원을 배상금으로 지급하라는 강제조정 결정을 내렸지만 LG 구단은 이의 신청을 냈다.

 우여곡절 끝에 임수혁 가족과 두 구단은 3억3천만원의 보상금에 합의했다.

 임수혁 소송으로 프로야구 선수들의 그라운드 안전 대책에 대한 관심이 커졌고 의료진과 구급차가 구장에 상시 대기하는 등 안전사고에 대비한 개선책이 마련되기도 했다.

 그라운드에 쓰러진 지 5년이 넘어서며 주변의 관심도 시들해졌고 온정도 끊기기 시작했다.

 롯데 선수들과 후원회가 매년 일일호프와 자선행사를 열고 2000년 현대 시절부터 매월 월급에서 1만원씩 떼어내 후원금을 마련해온 히어로즈 선수들의 지원은 계속됐지만 그가 다시 일어서리라는 희망은 점점 옅어져 갔다.

 7일 오전.임수혁은 그토록 깨어나기를 바라던 가족과 동료,팬들을 뒤로 한 채 눈을 감았다.

 2000년 4월 그라운드에 쓰러진 지 9년10개월 만이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