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A학점 인플레’ 차단 초강수

연세대 ‘A학점 인플레’ 차단 초강수

입력 2010-02-08 00:00
업데이트 2010-02-08 13: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요大 절대평가 일부 인정…논란 조짐

 연세대가 영어 강의를 뺀 모든 과목에서 과감히 절대평가를 폐지키로 한 것은 학사 관리를 강화해 기초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특히 4학년 심화전공(4천단위 과목) 등 고학점 비율을 탄력적으로 운영했던 수업이 ‘A학점 폭격기’로 전락해 교육 기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와 오랜 내부 논의 끝에 이런 결정을 내렸다고 학교 측은 전했다.

 연세대 한 관계자는 8일 연합뉴스와 전화 통화에서 “교수가 온정주의 등으로 A 학점을 너무 많이 주면 학생들 사이에 금세 소문이 나 평가 질서가 왜곡된다.학교가 정한 (상대평가) 기준을 따르는 게 차라리 맞다는 결론을 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4학년 심화전공도 어려운 수업에 학생 참여를 늘리자며 학점 비율 제한을 풀었는데,시간이 지나면서 학점을 쉽게 따는 수단으로 원래 취지가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연세대의 결정은 여전히 절대평가를 허용하는 대학이 대다수여서 학생들 사이에서도 논란거리로 부상할 전망이다.

 연세대 총학생회는 재학생 인터넷 커뮤니티에 ‘절대평가를 사수하자’ 등의 주장이 잇따르자 이번 주 내로 교무처 관계자를 면담하고 대응 방향을 결정키로 했다.

 총학 관계자는 “특히 심화전공 절대평가는 2006년 학교가 당시 총학과 논의해 도입한 제도인데,학생들에게 의견을 묻지 않고 일방적으로 폐지해 문제가 적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실제로 다른 주요 대학 대다수는 상대평가를 원칙으로 삼지만 일부 과목에 ‘일률적인 석차 산정이 어렵다’는 등의 이유로 절대평가를 허용하고 있다.

 고려대와 이화여대는 교생실습과 같은 일부 교직이수 과목과 고전읽기 및 글쓰기 등의 사례에서 A학점 비율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엄정한 학사 관리로 유명한 서강대도 20명 이하의 수업과 실험실습,교직과목,졸업논문에서는 예외적으로 절대평가를 인정하고 있다.

 서울대는 ‘모든 수업은 상대평가’란 원칙이 있지만 전공의 경우 교수가 정해진 A 학점 비율을 넘겨도 제재는 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절대평가를 ‘대세’로 인정하는 학교도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교양과 전공 등 모든 수업에서 따로 정해진 학점별 비율이 없으며,한양대도 인문사회계열 등의 단과대가 전공 수업에 절대평가를 한다.

 KAIST 관계자는 “다들 잠재력이 뛰어난 학생들인데 인위적으로 줄을 세울 필요는 없다는 것이 학교의 판단”이라며 “잘하면 모두 A를,못하면 모두 F를 주는 것이 오히려 옳다고 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