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 다시 늘어난다

기생충 다시 늘어난다

입력 2010-02-17 00:00
업데이트 2010-02-17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간흡충 등 9종 유병률 7년동안 2배 증가

‘장내 기생충’이 다시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내과 이준행 교수팀이 2000~2006년 건강검진을 처음 받은 7만 8073명의 분변 기생충 양성률을 조사한 결과 2000년 2.51%에서 2006년 4.45%로 증가했다고 16일 밝혔다.

기생충 유병률이 7년 동안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대변 검사에서 발견된 기생충은 회충, 편충, 간흡충, 요코가와흡충, 광열열두조충, 왜소아메바, 대장아메바, 람블편모충, 이질아메바 등 9종으로 조사됐다.

이미지 확대


특히 디스토마로 불리는 간흡충과 원충과의 기생충 가운데 하나인 왜소아메바가 눈에 띄게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간흡충의 경우 양성률이 2000년 0.45%에서 2006년 1.4%로 크게 늘었다. 왜소아메바도 2000년 1.23%에서 2005년에는 2.29%로 약 1% 포인트 상승했다. 회충은 2000년에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가 2006년 0.01%의 양성률을 보였다.

간흡충이 증가한 것은 기생충에 대한 경각심이 낮아진 데다 주 감염원인 참붕어, 모래무지 등의 담수어를 날로 먹거나 덜 익혀 먹는 경우가 많고 구충제가 주로 장내 선충에만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반면 왜소아메바는 분변이나 사람 간 접촉, 오염된 식수 등을 통해 감염이 늘었을 것으로 추정됐다.

지역별 기생충 양성률을 보면 부산·울산·경남 지역 거주자가 2000년(3.63%)을 제외하고 매년 최고수치(6.15~10.41%)를 나타냈다. 이준행 교수는 “기생충이 장내에 서식할 경우 체중감소와 영양장애, 심한 복통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기생충 질환 예방을 위한 국민 교육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2010-02-17 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