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YWCA여성운전자 긴급설문] 억울한 ‘김여사’

[본지·YWCA여성운전자 긴급설문] 억울한 ‘김여사’

입력 2010-02-23 00:00
업데이트 2010-02-23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법규위반 교통사고 男이 女보다 5배많아, 여성 50% “남성에 폭언·무시당한 경험”

여성운전자 가운데 절반 이상은 운전 중에 남성에게서 폭언이나 무시를 당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교통법규 위반으로 사고를 낸 여성 운전자는 남성의 5분의 1 수준으로 나타나 여성들이 안전운전을 하고도 무시를 당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미지 확대
●여성 면허소지자 1000만시대

22일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여성운전면허 소지자는 지난달 말 기준으로 1001만 9550명에 이른다. 이는 남성운전자(2585만 4185)의 38.7%에 해당한다. 여성 운전이 대중화됐지만, 남성 일부는 여전히 “운전과 주차가 서툴다.”는 이유로 여성을 얕보는가 하면, 온라인에선 운전에 서툰 여성을 ‘김 여사’로 비하해 조롱하고 있다.

서울신문은 8~12일 서울 YWCA와 공동으로 ‘여성운전자 1000만명 시대, 문제점과 개선점’을 찾기 위해 20대 이상 여성운전자 123명을 긴급 설문조사 결과 여성운전자 52.8%가 운전 중 남성의 폭언이나 무시를 당한 적이 있다고 대답했다. 주요 사례로는 ‘출발이 늦다고 뒤차가 급하게 앞을 가로막은 뒤 심한 욕을 퍼부었다.’, ‘상대가 여성인 것을 보고 목소리를 높여 잘못을 떠넘겼다.’, ‘이유 없이 “집에서 밥이나 해라”, “애나 보지 왜 길에 나왔느냐?”며 무시했다.’고 답했다.

조사에서 여성 운전자들은 위협적인 부분으로 대형차량(42.3%), 남성운전자의 무시와 폭언(28.5%), 무리한 끼어들기(18.7%), 양보 안 하기(10.5%)를 꼽았다.

운전미숙으로 무시를 당하는 여성이 많은 것과는 달리, 정작 교통법규를 위반해 사고를 내는 비율은 남성이 여성보다 크게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청과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여성운전자의 교통법규 위반으로 일어난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2006년 3만 1648건, 2008년 3만 3660건으로 같은 기간 남성 사고의 20%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과속으로 발생한 사고는 남성(1301건)이 여성(33건)에 비해 40배 이상 높았으며, 중앙선침범이나 신호위반, 앞지르기 위반 같은 경우도 남성이 평균 4~10배 이상 높아 난폭운전이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교통공단 관계자는 “여성은 운전면허를 따고도 직접 운전을 하지 않는 ‘장롱면허’도 많아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이를 감안하더라도 법규 위반으로 사고를 내는 남성의 수가 여성보다 월등하게 많아 상대적으로 여성이 안전운전을 한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과속사고 男이 女의 40배

이창순 경희대 사회학과 교수는 “오너드라이버가 양산된 1980년대와 비교하면 많이 약해졌지만 한국 남성들은 여전히 운전을 남성의 영역으로 국한해 여성운전자를 못 미더워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통계에서 보듯이 여성이 남성보다 더 안전하게 운전을 하기 때문에 사고도 줄어든다.”고 말했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0-02-23 12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