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바수술 공방확대…보건硏 사망사례 공개

카바수술 공방확대…보건硏 사망사례 공개

입력 2010-02-24 00:00
업데이트 2010-02-24 15: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건국대병원 송명근 교수가 ‘카바수술’(CARVAR.종합적 대동맥 근부 및 판막 성형술)에 대해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 데 대해 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허대석.이하 보건연)이 24일 카바수술에 따른 사망사례를 언론에 공개하는 등 양측의 공방이 그치지 않고 있다.

 보건연은 송 교수가 전날 기자회견을 통해 “(보건연이) 주먹구구식으로 주관적인 결정을 내렸다”고 말한데 대해 “중대한 이상반응을 장관에게 보고하기까지의 과정은 적법한 절차를 따른 것”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연구원은 또 “713명 전체에 대한 비교가 아닌 128명만을 선정해 비교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7차 회의가 개최될 시점에 1차 분석이 이루어진 환자는 127건이었다”면서 “회의 당일을 기준으로 의무기록조사를 마친 127명의 자료를 정리한 것이지,임의로 전체 713건 중에서 127명을 선정한 것은 아니다”고 항변했다.

 연구원이 내놓은 자료를 보면 이번 분석에 사용된 환자 수술 자료는 건국대병원에서 지난해 12월21일까지 모두 101건을,송 교수가 앞서 재직했던 서울아산병원에서 올해 2월1일에 26건을 각각 제출한 것으로 돼 있다.

 하지만,건국대병원의 경우 서울아산병원에서 26건의 사례를 제출하기 이전인 1월28일에 총 271건의 수술사례를 추가로 보고한 것으로 적혀 있다.

 이어 서울아산병원병원에서는 이미 보고된 26건 외에 285건이 2월17일에 추가 제출됐다.

 이를 두고 송 교수는 “서울아산병원의 환자 자료는 늦게 제출됐다고 해도 시기적으로 앞서 제출된 건국대병원의 환자 자료가 분석에서 빠졌다”면서 “굳이 앞서 제출된 자료를 놔두고 127명만 분석한 이유를 납득할 수 없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보건연은 “건국대병원의 수술건수가 많아 상대적으로 환자가 적은 서울아산병원의 사례를 먼저 분석했다”고 해명했다.

 보건연은 이번 자료에서 “지난 2년 4개월간 대동맥 판막질환으로 카바수술을 받은 환자 252명 중 사망한 사례가 한 건도 없다”는 송 교수의 주장에 대해서도 5명의 사망사례를 꼽으며 조목조목 반박했다.

 이 자료에서 보건연은 “이들 5명은 2007년4월부터 2009년7월 사이에 대동맥 판막부전과 협착 등으로 카바수술을 받고 부작용으로 숨졌다”면서 “카바수술법으로 수술한 252명이 모두 살아있다는 주장은 사실무근”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보건연은 “실무위원회가 카바수술에 부정적 입장을 가진 인물들로 구성돼 있다”는 주장과 관련해서는 “학회의 정식 추전을 받은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한 만큼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