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發 쓰나미 정치권 덮치나

한화發 쓰나미 정치권 덮치나

입력 2010-10-14 00:00
업데이트 2010-10-14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검찰, 비자금 수사 확대 주목

한화그룹에 대한 검찰의 수사가 비자금 수사로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특히 비자금의 ‘사용처’ 대상에 정치권도 포함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정치권에 ‘한화발(發) 쓰나미’가 몰려올지 주목된다. 하지만 한화가 비자금의 정치권 유입 의혹에 대해 강하게 부인하고 있어 수사에 난항이 예상된다.

●한화관계자 소환 정치권유입 추궁

검찰이 당초부터 한화그룹에 대한 수사를 조세포탈이나 증여세 탈루 정도로 제한하지 않은 정황은 곳곳에서 감지된다. 차명계좌 5개가 불거졌을 당시 한화 측은 제 손으로 50여개의 차명계좌를 검찰에 전해준 것으로 알려졌다. 이때만 해도 한화 측은 검찰의 수사가 비자금 수사로 진행될 것이라고 판단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검찰수사가 비자금으로 방향을 틀면서 상황이 180도 달라졌다. 검찰은 한화 관계자를 소환해 비자금의 용처에 대해 집중적으로 수사하면서 정치권에 유입됐는지 여부도 캐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한화측은 “차명계좌는 비자금이 아니며 선대 회장한테서 물려받은 재산”이라며 시종일관 정치권 비자금 유입을 강하게 부인하는 상황이다.

문제는 검찰이 한화 측의 주장을 액면 그대로 받아주느냐이다. 현 상황으로 볼 때 이런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검찰은 본격적으로 수사에 착수하기 전에 이미 차명계좌에 조성된 돈이 친인척들에게 흘러 들어간 정황을 포착했다는 것이 정설이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도 내사 단계에서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이 단순히 김승연 한화 회장의 증여세 탈루 등의 혐의를 캐려고 한화그룹 본사와 한화증권 여의도사무실을 대대적으로 압수수색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견해가 설득력을 얻고 있는 이유다.

●자금흐름 정확히 파악할까 의문

하지만 검찰로서도 고민은 있다. 차명계좌에 들어 있는 돈이 비자금이고, 이 돈이 정치권 누구에게 흘러 들어갔는지를 파악해야 하는데 말처럼 쉽지 않다. 삼성이나 CJ 사건 때도 차명계좌가 선대(先代) 회장으로부터 받은 돈으로 귀결됐다. 검찰이 또 차명계좌의 자금 흐름을 정확히 파악해 낼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이런 까닭에 검찰이 한화의 비자금을 확인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박영수 변호사(한화 측이 선임)의 발언은 의미심장하다. 압수수색을 한 것에 부담을 느끼는 검찰이 ‘어떤 수사’로 돌파할지 주목된다.

김승훈기자 hunnam@seoul.co.kr
2010-10-14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