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내 삶의 동력은 종철이의 죽음”

“내 삶의 동력은 종철이의 죽음”

입력 2011-06-10 00:00
업데이트 2011-06-10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종철 열사 세상 떠난 지 24년… 아픔으로 그를 기억하는 친구들

이미지 확대
고(故) 박종철 열사
고(故) 박종철 열사
고(故) 박종철 열사가 세상을 떠난 지 올해로 24년이 지났다. 대학 시절 박종철 열사의 동아리 동기이자 동갑내기 친구인 김용서(47)씨와 정병문(47)씨는 졸업 뒤 각기 다른 길을 걸었다. 그러나 두 친구 모두에게 박종철 열사는 평생 잊을 수 없는 소중한 친구이자 아픈 기억이다.

●“친구의 죽음 앞에서 침묵할 수 없었죠”

서울 사당중학교에서 체육을 가르치는 김용서(47) 교사는 박종철 열사와 같은 동아리에서 활동했다. 김 교사는 박 열사와 가깝게 지내지는 못했지만, 박종철 열사의 죽음은 김 교사에게 큰 충격이었다.

서울대 체육교육과 84학번인 김 교사는 당시 여느 대학생이 그렇듯 학생운동에 뛰어들었다. 친구들의 행방을 찾으려는 경찰에게 고문도 당했고 구치소 생활도 했다. 1986년 11월 심한 고문을 당한 뒤 두 번째로 구속됐을 때, 김 교사의 심신은 지칠 대로 지쳐 있었다. 김 교사의 마음속에는 ‘당분간은 투쟁보다 가족을 위해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간절했다.

그런 와중에 박종철 열사의 죽음은 김 교사의 삶을 한순간에 뒤집어 놓았다. 1987년 1월, 지친 마음으로 구치소를 나선 김 교사는 뒤늦게 박종철 열사의 소식을 접했다. 당분간 학생운동에서 떨어져 있으려 했던 결심은 친구의 죽음 앞에서 흔들릴 수밖에 없었다. “친구가 죽었는데 침묵할 수 없다는 생각에 갈등이 깊었습니다. 학생운동이 운명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죠.” 한동안 방황하던 김 교사는 결국 6월 항쟁을 즈음해 다시 학생운동에 뛰어들었다. 후배들을 데리고 시위 현장을 헤맸다. 졸업 후에는 마산·울산 등지의 노동 현장에 위장 취업을 했다가 또 한번 구속되는 고난을 겪기도 했다.

2001년 뒤늦게 교직에 나선 김 교사는 ‘제대로 된 교육을 하자.’는 생각에 전교조에 가입했다. 지금은 전교조 서울지부에서 정책실장을 맡고 있다. 김 교사는 “지금까지 내 삶의 동력은 종철이의 죽음에서 나왔다.”면서 “종철이의 죽음은 내 인생을 바꾼 전환점이었다.”고 말했다.

경남 거창고에서 교직원으로 일하는 정병문(47)씨는 대학 졸업 뒤 평범한 삶을 살았다고 회고한다. “종철이의 죽음이 내 삶을 바꿔 놓은 건 아니다.”라는 정씨는 그러나 “아직도 종철이의 죽음은 나에게 아픔으로 다가온다.”고 돌이켰다.

당시 학생운동을 주도했던 비밀 동아리 회원들은 서로 살가운 우정조차 나누기 어려웠다. 그런 중에도 그는 박종철 열사와 유난히 가까웠다. 신분을 속이기 위해 박종철 열사의 학생증을 빌려 갖고 다니기도 했다.

1987년 1월 어느날. 정씨는 신문에서 박종철 열사의 죽음을 접했다. 문득 가슴으로 공포와 불안이 물 밀듯 밀려왔다. “하늘이 무너지는 심정이었습니다.” 더 이상 박종철 열사의 학생증을 가지고 다닐 수 없다는 현실적인 걱정에서부터, 언젠가 자신도 죽음을 맞이할지 모른다는 공포까지, 모든 것이 그를 혼란스럽게 했다.

●“아직 사회 곳곳에 비민주적 현상 많아”

노태우 정권이 들어선 뒤 정씨는 복학을 했고, 뒤늦게 군대를 다녀온 뒤 평범한 직장 생활을 했다. 그러나 박종철 열사를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이 아려온다. 정씨는 아직도 친구 박종철 열사의 못다 한 꿈이 무엇이었을까 생각하곤 한다. “지금도 사회 곳곳에 비민주적 현상들이 많습니다. 아직도 우리 사회는 더 많은 사람의 희생을 필요로 하는 것 아닌가 싶어 서글프기도 합니다.”

김소라기자 sora@seoul.co.kr
2011-06-10 29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