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맷값 사건’은 체벌 부작용?

SK ‘맷값 사건’은 체벌 부작용?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11-07-01 00:00
업데이트 2011-07-01 13: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태섭 변호사의 ‘확신의 함정’

 금태섭(44) 변호사는 일간지에 기고했던 ‘현직 검사가 말하는 수사 제대로 받는 법’이란 글이 문제가 되어 검찰 조직을 떠나면서 대중에게 이름이 알려진 법조인이다. 꿈이 소설가인 금 변호사가 쓴 ‘확신의 함정’(한겨레출판 펴냄)은 저자의 독서 내공이 만만치 않음을 보여준다.
이미지 확대


 ‘확신’은 12년간 범죄 수사를 한 경험 등을 녹여 중범죄는 사형으로 근절될 수 있는가, 체벌은 학생을 바로잡을 수 있는가, 성매매는 금지되어야 하는가 등 첨예한 사안을 설득력 있게 풀어낸다. 딱딱한 주제를 풍부한 경험과 소설, 영화, 드라마의 일화를 곁들여 이야기하기에 소설을 읽는 것처럼 흥미진진하다.

 저자는 대부분 주제에 대해 “이게 최선입니까? 확실해요?”라고 다시 한번 질문을 던지지만, 체벌 문제에 대해서만은 명확하게 문제제기를 한다. 재벌가 2세인 최철원 SK M&M 대표의 ‘맷값 폭행’을 예로 들면서 “체벌은 때리는 사람에게나 맞는 사람에게나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폭력을 사용해도 좋다는 생각을 심어준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금 변호사는 초등학교 후배인 문제의 ‘맷값 폭행’ 당사자와 어릴 때 스케이트 시합에 함께 나갔다고 한다. 당시 다른 학교 아이들과 시비가 붙었는데, 이 친구를 따라온 어른이 “상대방이 잘못했으면 패주고 와야지 왜 그냥 물러섰느냐.”며 야단쳤단다.

 금 변호사는 무참하게 사람을 때리고 맷값을 던져줬다는 뉴스를 보면서 어린 시절의 그 장면이 떠올라 몸서리를 쳤다고 털어놓았다. 이어 “그 후배를 그렇게 만든 원인 중에 체벌이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고 생각한다?‘잘못했으면 맞는 것이 당연하다.’는 생각을 심어준 어른들의 잘못을 비판한다면 잘못 짚은 것일까?”라고 질문을 던진다.

 모범생이든 불량 학생이든 누구나 학창 시절 선생님 또는 선배로부터 한두 차례 맞은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게 사랑의 매였다 할지라도 “모든 매는 예외 없이 감정이 섞인 매”라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그리고 “자라면서 맞은 매 중에서 한 번이라도 나를 올바른 길로 이끌어준 매가 있느냐고 묻는다면 나는 단호히 아니라고 대답할 수 있다.”고 잘라 말한다. 1만 2000원.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