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장서 체험활동? 서울교육청 방침 논란예고

공사장서 체험활동? 서울교육청 방침 논란예고

입력 2011-07-04 00:00
업데이트 2011-07-04 05: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학기부터 학교 건물 공사현장 체험교육 추진”안전사고 우려ㆍ교육적 효과 미검증” 지적

서울시교육청이 올 2학기부터 학교 건물의 증ㆍ개축 공사현장에서 초중고생의 체험학습을 진행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교육청측은 학생들 체험의 폭을 넓힌다는 입장이지만, 안전사고가 걱정스럽고 교육적 효과도 검증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서울시교육청과 일선 학교에 따르면 시교육청은 최근 서울 시내 초중고교의 건물 공사현장을 학생 체험교육에 활용하기로 하고 실무협의회를 열어 교사,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는 한편 견학이 가능한 공사현장이 어디인지 파악했다.

초중고의 ‘창의적 체험활동’시간 등을 활용해 학생들이 학교 건물 공사현장을 둘러보면서 학교가 어떻게 지어지는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공사 단계별로 체험하게 하려는 취지다.

시교육청은 다음 학기부터 공사가 진행 중인 학교 몇 곳을 선정해 창의적 체험활동 장소로 시범운영을 한 뒤 추후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할 방침이다.

시교육청은 공사 현장의 현장소장, 전담감리자 등 관계 전문가를 확보해 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현장에 학생들이 지나다니는 관람로와 별도 장소를 확보할 계획이다.

학생용 안전수칙을 별도로 만들어 게시하고 학생들에게는 안전모, 안전화, 방진 마스크 등 안전장비를 지급한다. 체험학습 대상으로 선정된 공사현장은 소음도, 비산먼지 농도 등을 상시 측정해 게시하는 장치를 설치할 계획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크며, 교육적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사업인데다 예산이 너무 많이 든다는 반론이 나오고 있다.

시교육청이 자체적으로 필요한 예산을 추산한 결과 학생 안전장구류 비용에는 1인당 10만9천원이 들고 재활용을 하더라도 100명이 동시에 견학하면 1천200만원이 든다.

여기에 학생 견학용 안전수칙 게시판 설치에 140만원, 소음ㆍ비산먼지 농도 측정기 비용에는 340만원 등과 견학용 관람로 설치, 공사 현장 전문가 확보 등에 추가 비용이 든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안전이 담보된 공사현장도 학생들이 체험할 수 있도록 열어주는 게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아무래도 안전문제가 가장 큰 고민인데 안전수칙을 철저히 갖추고 프로그램을 운영하면 교육적 효과를 거둘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반면 모 초등학교 교사는 “어린 학생들을 공사현장에 데리고 가는 것이 교육적으로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모르겠지만 학부모들이 반대할 것이 뻔하다”며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 학부모들의 불만이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