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지원 남학생 급증 왜?

간호학과 지원 남학생 급증 왜?

최재헌 기자
최재헌 기자
입력 2011-07-06 00:00
업데이트 2011-07-06 15: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대 간호학과 남학생 입학비율 2년새 2배로 급증

 ‘백의의 천사’로 불리며 대표적인 여성 직업 가운데 하나인 간호사가 되기 위해 대학 간호학과를 지망하는 남학생이 최근 들어 두 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졸업자 가운데 절반이 직장을 찾지 못해 소위 백수로 전락하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안정되게 취직할 수 있는 전문직인 간호사를 선호하는 남학생들이 늘어난 탓이다.

 서울신문과 이투스청솔 교육평가연구소가 최근 3년간 서울 및 지방 소재 주요 국립대학 간호학과의 남학생 입학 비율을 조사한 결과, 2008학년도에 전체 정원의 5.7%(66명)에 불과하던 것이 2010학년도에는 11.0%(128명)까지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학별로 보면 2008학년도 가톨릭대, 강원대, 중앙대에는 각각 간호학과에 남학생이 한 명씩만 있었지만 3년 뒤인 2010학년도에는 각각 6명, 9명, 4명 등으로 늘어났다. 삼육대 간호학과는 지난해 입학정원 55명 가운데 남학생이 11명으로, 전체 정원의 20%에 달했다.

 이처럼 최근 들어 남학생들 사이에 간호학과의 인기가 높아진 이유는 무엇보다도 졸업 후에 안정적인 직장이 보장된다는 점이 크다. 여기에다 직업 자체에 대한 남자 기피 현상이 줄어든 것도 적잖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이투스청솔 오종운 평가이사는 “남자 간호사들은 보건 공무원, 간호장교, 보건진료원 등 다양한 분야에 진출할 수 있고, 종합병원에서도 야간 근무나 강한 체력이 요구되는 응급실·중환자실·정신병동 등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어 여성보다 선호도가 높아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간호사 국가시험에도 남성 합격 비율이 계속 늘어나, 2005년에는 2.1%(244명)에 불과하던 것이 2010년에는 5.4%(642명)로 두 배 이상 늘어났다.

 한편, 이같은 남성의 간호직 선호 추세에 따라 올해부터 처음으로 남자 사관생도를 선발하는 국군간호사관학교에도 지원이 몰릴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지난 6월 15일 ‘국군간호사관학교 설치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2012학년도부터 남자 생도를 모집할 수 있게 했다. 학비 전액이 국비로 운영되는 데다 졸업 후 장교 임관이 보장되고 군 대체 복무도 가능해 지원율이 높아질 전망이다. 전체 선발 규모는 육·공·해군 사관학교의 비율에 따라 10% 수준으로 선발할 것으로 알려졌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