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와 함께한 30년 그 자체가 감동”

“아내와 함께한 30년 그 자체가 감동”

입력 2011-07-07 00:00
업데이트 2011-07-07 0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18편 연서 묶어 생애 첫 사랑시집 펴낸 고은

시인 고은(78)은 2002년 이후 매년 가을이면 ‘노벨문학상 홍역’을 앓는다. 유력한 노벨문학상 후보라는 스웨덴 안팎의 전언 속에 경기 안성에 있는 자신의 집 앞으로 몰려든 취재진에 시달려야 했고, 최근 몇 년은 곤혹스러움을 피하기 위해 발표 즈음 아예 집을 비우고 다른 곳으로 떠나 있곤 했다. 앞으로도 노벨상을 수상하기 전까지는, 비슷한 과정을 반복할 수밖에 없다.

이미지 확대
고은 시인 연합뉴스
고은 시인
연합뉴스




●“30년 전 냈더라면 도종환 다음쯤…”

이처럼 지역과 민족, 국가, 시간의 경계를 뛰어넘어 인류의 보편과 우주의 광대함을 웅혼하게 노래해온 고 시인이 연시(戀詩)들을 모아 시집을 냈다. 그의 문학 생애 첫 사랑시집이다.

118편의 시에 한결같이 사랑의 순정과 희열, 감동을 빼곡히 담아낸 ‘상화 시편’(창비 펴냄)은 오롯이 그의 아내 한 사람만을 위해 쓰였다. 제목부터 사뭇 노골적이다. ‘상화’는 부인(이상화·64, 중앙대 영문과 교수) 이름이다.

6일 서울 중구 무교동의 한 음식점에서 기자들과 만난 고 시인은 “한 인간으로서 갖고 있는 사랑이라는 감정을 억제할 수 없어서 나에게 막 찾아오는 시를 그냥 옮겼다.”면서 “30년 가까이 함께 살아온 시간 동안 일상 속 티끌 같은 시간의 집적 그 자체가 감동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1980년대 후반에 이 시집을 내고 싶었는데 아내가 만류해서 내지 않았다.”면서 “그때 냈더라면 도종환(베스트셀러 시집 ‘접시꽃 당신’의 시인) 다음은 갔을 텐데…”라며 껄껄 웃었다.

●“결혼 후 작품 아내 이상화 교수 합작”

고 시인과 이 교수는 1983년에 결혼했다. 28년이 흘렀으니 데면데면해질 때도 됐다. 더욱이 각각 여든, 일흔을 바라보는 나이다. 그럼에도 고 시인은 “이 만용을 용기라고 부르겠다.”면서 내밀하면서도 열정적인 사랑을 세상에 드러냈다.

그래 놓고는 막걸리 두 잔을 거푸 들이켜며 싱글거렸다. 그는 “상화가 없었다면 나는 아마도 15년 전쯤 지수화풍(地水火風)으로 돌아갔을 것”이라면서 “결혼한 뒤 써 나간 내 작품들은 모두 아내와의 합작품”이라고 아내에 대한 찬사를 거듭했다. 또 “우리 부부는 무갈등 이론의 전범과도 같아 한 번도 부부싸움을 하지 않았다.”면서 “보면 볼수록 좋고, 어쩌다가 싸우려면 한 쪽이 없어져 버리니 싸우고 싶어도 싸울 수가 없다.”고 덧붙였다. 점입가경이다. 이쯤 되면 ‘팔불출’도 울고 갈 정도다.

부부는 서로의 생일 때 시와 편지를 주고받는다. 고 시인의 시집 첫 장은 아내 이 교수의 시 ‘어느 별에서 왔을까’가 장식하고 있다. 부창부수다.

“아내의 시가 더 좋은 것 같다.”는 말에 고 시인은 “오늘 들은 얘기 중 최고의 찬사다. 집에 가서 꼭 전해줘야겠다.”라며 천진스레 웃었다. 낯간지럽게 드러난 연정이 노골적이라 오히려 자연스럽다.

●“볼수록 좋은데 싸울 틈 없지”

그의 시 한 구절 ‘아내의 둘레를 돌 때마다/ 나의 한쪽이 빛난다’(‘공전’ 중)는 시집의 부제 ‘행성의 사랑’을 설명하는 아내에게 바치는 헌사다.

30년에 걸쳐 30권으로 완간한 ‘만인보’에도 차마 담지 않은, 가장 소중한 사람은 따로 있었던 것이다.

그는 ‘상화 시편’과 함께 또 다른 시집 ‘내 변방은 어디 갔나’(창비 펴냄)도 내놓았다. 인류와 생명의 역사를 아우르는 고은 특유의 웅장한 발화를 접할 수 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1-07-07 2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