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달픈 삶의 현장·새들의 생활에 주로 앵글 맞춰”

“고달픈 삶의 현장·새들의 생활에 주로 앵글 맞춰”

입력 2011-07-12 00:00
업데이트 2011-07-12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진공모전 1048회 수상… 기네스 기록 도전 임일태씨

“사진작가 생활은 대통령하고도 바꾸지 않을 만큼 행복합니다. 모든 사물과 현상을 자신의 시각과 의지에 따라 자유롭고 즐겁게 작품으로 승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지요.”

30여년 동안 카메라와 함께 동고동락을 해온 사진작가 임일태(68·한국사진작가협회 위원·전북 전주시 덕진구 송천동)씨가 공모전 세계 최다 수상 기네스 기록에 도전한다.
이미지 확대
임일태씨
임일태씨


●해외 수상 847회… 국내보다 많아

임씨는 열정적인 작가 활동을 통해 53개국에서 1048회를 수상하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수립했다. 대상 1회, 금상 32회, 은상 21회, 동상 23회, 가작·장려·특별상 82회, 입선 882회, 기타 7회 등이다. 해외에서 수상한 경력이 847회로 국내보다 훨씬 많다. 그동안 수상한 상장과 상패 등이 방 하나를 가득 채우고도 모자랄 정도다.

이런 기록은 지난 5월 한국 기록원에 등재된데 이어 기네스북에 오를 준비를 하고 있다. 지금까지 사진 공모전 최다 수상 기록은 프랑스 작가의 800여회일 뿐이다.

초등학교 교사 출신인 임씨가 사진에 관심과 애착을 갖게 된 동기는 1981년 월간지 ‘여원’ 공모 사진전에서 수상하게 되면서부터다. 열정과 실력으로 국내외에서 인정받았고 항상 열심히 공부하고 현장에 충실한 작가라는 평을 들었다. 창작 사진 분야의 실력이 뛰어나 ‘연출의 달인’으로 통한다.

●우표·탈·수석도 많이 모아

임씨는 “사진작가는 순간 포착을 위해 비가 오나 눈이 오나 현장에 직접 가서 보고 생각하는 프로 근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가 주로 앵글을 맞추는 대상은 고달픈 삶의 현장과 새들이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는 모습이다.

“토속적인 삶의 기원인 샤머니즘, 전통 이어가기, 한국의 세시풍속 등을 보면 기록으로 남겨 후손에게 물려주고 싶다는 사명감이 용솟음칩니다. 새들의 생활을 들여다보면 진정한 모성애와 부성애, 조건 없는 사랑을 되새기게 되지요.” 이어 “깊이 들어가면 갈수록 끝이 없다는 것을 실감한다.”고 말했다.

사진에 미쳐 살다 보니 에피소드도 많다. 작품을 찍으러 섬에 들어갔다가 풍랑으로 소식이 끊겨 가족들이 실종신고를 하는가 하면 누드모델을 집에 데려와 촬영하다 부인에게 들켜 혼쭐이 나기도 했다. 새벽부터 사진기를 들고 돌아다니다 간첩으로 신고돼 경찰이 출동하기도 했다.

임씨는 사진 찍는 틈틈이 우표도 수집해 65개국 우표 8000여장을 모았다. 아파트 거실은 각종 수석들로 가득하다. 분재, 바둑, 서예, 목공, 탈 수집, 사물놀이 등도 한다. 그러니 부부교사임에도 불구하고 집안 살림살이는 늘 넉넉하지 못했다.

●“평생 통장에 100만원 쌓일 때 드물어”

부인 이혜자(63)씨는 “카메라 장비나 수석을 자주 구입하는 바람에 평생 예금통장에 100만원 이상 쌓일 때가 드물었다.”면서 “속상했지만 일찌감치 포기하니 마음이 편하다.”고 했다.

한국·일본·루마니아 ‘3국 3인 전시회’를 준비하다가 몇개월전 과로한 탓에 뇌경색 치료를 받고 있다는 임씨는 “소망이 있다면 지금까지 수상한 상패와 모아온 수석 등을 전시할 아담한 기념관을 하나 짓는 것”이라면서 “건강이 허락하는 한 눈을 감는 그날까지 카메라를 손에서 놓지 않겠다.”며 사진에 대한 무한한 열정과 애정을 감추지 않았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2011-07-12 2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