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제 60개大 자기소개서 표절가린다

입학사정관제 60개大 자기소개서 표절가린다

입력 2011-07-20 00:00
업데이트 2011-07-20 15: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천여개 고교DB도 구축…입학사정관이 적극 활용

8월 수시모집부터 도입되는 ‘자기소개서 표절 검색’ 시스템은 입학사정관제를 실시하는 대학 중에서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는 60개 대학에 우선 적용된다.

서울대를 비롯한 상당수의 국공립대와 연세대ㆍ고려대 등 주요 사립대가 해당한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은 대학 간 비교가 가능한 지원서류 표절 검색기능, 전국 2천여개 고등학교의 양적ㆍ질적 정보를 담은 데이터베이스(DB)로 구성된 ‘입학사정관제 공정성 확보 시스템’을 개발해 내달 수시모집부터 가동한다고 20일 밝혔다.

정확도 높은 표절 검색시스템과 각 고교의 특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DB는 입학사정관의 인재 선발에 도움을 주고 선발 절차의 공정성도 강화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전망이다.

서류 표절 검색은 수험생이 낸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 학업계획서, 각종 활동보고서 등을 검색해 기존 서류와 ‘유사도’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한 대학에 제출한 서류의 표절 뿐만 아니라 여러 대학이 확보한 서류 사이의 유사성도 점검한다.

즉 A학생이 B대학에 낸 서류가 ‘모범 사례’를 베꼈는지 찾아낼 수 있고 더 나아가 이 문서가 C학생이 D대학에 제출한 서류들과 유사한지 아닌지도 확인할 수 있다.

표절 검사는 특정 단어가 아니라 구나 절과 같은 문장 단위로 검색하는 방식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사설 학원의 ‘표준화된 모범 답안’을 그대로 베끼거나 약간 변형해 내는 게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대교협은 우선 정부지원을 받는 60개 대학에 새 시스템을 도입하지만 점차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대교협은 단일 대학 지원자 1만여명의 자기소개서를 기준으로 유사도 검색을 해봤더니 유사한지 를 가려내는데 걸리는 시간이 10∼30분 내외로 기존의 상용 검색솔루션보다 짧고, 유사도를 잡아내는 기능도 더 우수했다고 밝혔다.

또 유사도는 문서 전체의 비슷한 정도를 비롯해 문장 단위 유사도율도 퍼센트(%) 단위로 표시되며, 유사도율에 따라 배경색이 달라지는 등 기존 유사도 검색시스템과 차별화된다고 덧붙였다.

고교 DB는 전국 2천여개 고교의 특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각 학교가 직접 ‘모든 정보’를 기록·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학교정보 공시 사이트에 탑재되는 객관적·정량적 지표 뿐만 아니라 진학·진로상담 교사들이 직접 기재한 정보가 담긴다. 특성화 교육, 독창적인 교과 편성, 봉사활동 실적 등 수치화가 어려워 공시 사이트에는 담을 수 없는 질적·정성적 평가 요소에 관한 정보도 상세히 알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대교협의 새 시스템은 수험생과 친인척 등 특수관계인 입학사정관과 교직원이 입시 평가·관리 업무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검증하는 ‘회피·제척’ 기능도 담고 있다.

각 대학이 특수관계인의 존재를 자체 점검해 전산 프로그램에 입력하면 대학과 대교협이 이 정보를 공유한다. 대교협은 해당 대학에 사후 모니터링도 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