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오르자 부담스러운 시선 “안내견 활동 일상적으로 봤으면”

지하철 오르자 부담스러운 시선 “안내견 활동 일상적으로 봤으면”

입력 2011-07-21 00:00
업데이트 2011-07-21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석종씨와 동행해보니…

“안내견은 그냥 개가 아니에요. 우리의 눈입니다. 안내견의 공공장소 출입을 상식적으로 받아들이는 사회가 됐으면 좋겠어요.”

이미지 확대
1급 시각장애인 유석종씨가 19일 오후 지하철 9호선 샛강역 승강장에서 안내견 채송이와 함께 집에 가기 위해 지하철을 기다리고 있다.
1급 시각장애인 유석종씨가 19일 오후 지하철 9호선 샛강역 승강장에서 안내견 채송이와 함께 집에 가기 위해 지하철을 기다리고 있다.
1급 시각장애인 유석종(30)씨는 안내견을 손으로 쓰다듬으며 ‘상식’이라는 단어를 반복했다. 안내견의 활동이 특별한 것이 아닌 일상으로 자리잡아야 한다는 바람에서다. “외국에는 안내견에 대한 법이 따로 없어요. 시각장애인들이 안내견과 함께 다니는 것은 그들에게 상식이기 때문이죠.”

찜통 같은 더위가 기승을 부린 지난 19일 오후 유씨와 안내견 채송이는 서울 지하철 9호선 샛강역에 서 있었다. 삼성화재 안내견학교에서 근무하는 유씨는 서울 여의도 윤중중학교에서 안내견 인식 개선 강의를 마친 뒤 경기도 용인의 집으로 돌아가는 길이다. 채송이는 6살 난 암컷 래브라도레트리버종으로 3년 반째 유씨의 눈을 대신하고 있다. 유씨와 채송이를 따라 안내견의 도움을 받는 시각장애인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겪는 어려움을 체험해봤다.

오후 3시. 열차 안으로 들어서자 순식간에 시선이 쏠리는 것이 느껴졌다. 유씨는 채송이의 목줄을 당겨 출입문 한쪽 구석에 섰다. 샛강역에서 신논현역까지 이동하는 20분 동안 채송이는 단 한번도 짖거나 딴청을 피우지 않았다. 호기심 어린 눈빛으로 두리번거리는 쪽은 오히려 승객들이었다. 안내견 때문에 받는 관심이 부담스럽지 않으냐고 묻자 유씨는 “관심을 주는 것은 좋지만 허락 없이 안내견을 만지는 것은 때론 불쾌하다.”고 말했다. “시각장애인에 대한 예의가 아닐 뿐더러 안내견의 주의를 분산시켜 위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씨의 말이 끝나고 10분쯤 흘렀을 때 옆에 있던 50대 남성이 채송이의 목덜미를 쓰다듬었다. 유씨는 반사적으로 채송이의 몸을 양손으로 붙잡아 자기 쪽으로 끌었다. “말씀을 하고 만지면 감사하겠습니다.” 유씨의 목소리는 단호했다. 이 남성은 “귀여워서 만진 것도 안되나….”라며 멋쩍게 돌아섰다.

20분 뒤 신논현역에 도착해 용인행 버스로 갈아타기 위해 걸었다. 강남대로의 북적이는 인파는 유씨와 채송이를 전혀 배려하지 않았다. 진땀이 날 정도였다. 내비게이션 역할을 하는 채송이가 사람들 사이를 요리조리 피해 가며 방향을 잡았다. 유씨가 사람들과 부딪치지 않고 안전하게 걸어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500m 남짓한 거리를 가는 데 25분이나 걸렸다.

유씨는 “그래도 예전에 비하면 많이 나아졌다.”고 말했다. 또 “처음 안내견과 다니기 시작한 2002년에는 버스를 타면 아예 출발하지 않거나 탑승을 거부한 적도 많았다.”고 했다. 그러나 유씨와 채송이는 지금도 곳곳에서 적잖은 제약에 부딪히고 있다. “안내견과 함께 있는 것을 보고 개를 태울 수 없다면서 승차 거부하는 택시기사들이 아직도 많아요. 안내견은 그냥 개가 아닌데….” 안내견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과 배려는 아직도 갈 길이 멀어 보였다.

글 사진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1-07-21 1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