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어라 공부해도”…절망적인 30대 과학자들

“죽어라 공부해도”…절망적인 30대 과학자들

박건형 기자
입력 2011-07-26 00:00
업데이트 2011-07-26 17: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과학기술계 종사자 중 핵심인력인 30대가 경제적 처우나 연구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우수인력의 해외유출을 막고, 해외 박사들의 국내 영입을 위해서는 새로운 동기부여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26일 내놓은 ‘핵심과학기술인의 성과선행지수 개발, 작용 및 시사점’에 따르면 업무 내외적인 만족도를 측정하는 성과선행지수 조사 결과 30대 연구진이 가장 낮았다. 평가원은 이공계 박사 1478명과 기술사 1410명 등 모두 2888명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성과선행지수 전체 평균은 1.000점 기준에 0.493에 불과했다. 특히 직무와 관련된 내재적 동기지수(0.419)가 직무 이외의 동기지수(0.566)보다 크게 떨어졌다. 내재적 동기지수는 연구 중요성·연구 자율성 등으로, 직무 이외 동기지수는 근로소득·인센티브·근무시간·고용안정 등으로 구성된다.

 연령층에서는 30대 연구진의 지수가 최저였다. 30대의 내재적 지수는 0.407로 40대 0.418, 50대 0.427, 60대 이상 0.430에 비해 낮았다. 30대의 직무 이외 지수 역시 0.555로 40대 0.567, 50대 0.576에 비해 떨어졌다. 김진용 KISTEP 부연구위원은 “지난해 국내 이공계 박사 1478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37.3%가 해외 취업을 우선시하고, 이중 31.6%는 국내에 복귀하지 않겠다고 답했었다.”면서 “이번 성과선행지수처럼 핵심 과학기술 인재에 대한 동기부여가 국내 과학 발전의 핵심 과제”라고 밝혔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