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세 이하 다문화가정 어린이 2.9%

6세 이하 다문화가정 어린이 2.9%

입력 2011-07-26 00:00
업데이트 2011-07-26 07: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 만 6세 이하 아동 중 다문화 가정 출신 비율이 2.9%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올해 1월 현재 부모 모두 외국인이거나 한쪽이 외국인인 만 6세 이하 아동은 9만3천537명이고 같은 연령의 전체 주민등록인구는 320만4천520명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전체 외국인 주민(126만5천6명) 비율 2.5%보다 0.4%포인트 높은 것이다.

연령별로 만 0세는 1만6천428명, 만 1세는 1만7천304명, 만 2세는 1만6천607명, 만 3세는 1만5천584명, 만 4세는 1만775명, 만 5세는 8천844명, 만 6세는 7천995명이다.

연령별 주민등록인구 대비 비율은 만 0세 3.7%, 만 1세 3.9%, 만 2세 3.6%, 만 3세 3.1% 로 3%가 넘었고 만 4세는 2.4%, 만 5세는 2.0%, 만 6세는 1.7%로 내려갔다.

국가별로 베트남인이 2만9천997명으로 가장 많고 중국인이 2만418명, 한국계 중국인이 1만6천46명, 필리핀인 8천466명, 일본인 5천211명, 캄보디아인 3천128명, 중앙아시아인 1천768명, 몽골인 1천652명, 태국인 1천181명 순이다.

특히 베트남은 만 3세부터는 중국과 한국계 중국을 합한 숫자를 추월했다.

만 0세의 경우 베트남인은 6천231명, 중국인은 3천452명, 한국계 중국인은 2천80명인데 만 6세는 베트남인 909명, 중국인 1천948명, 한국계 중국인 2천131명이다.

지역별로도 서울은 만 6세 이하 외국인자녀 1만4천43명 중 한국계 중국인이 4천776명으로 가장 많고 중국인이 3천18명, 베트남인이 2천168명, 일본인 1천120명, 필리핀인 750명 등의 순이다.

반면 경상남도의 경우 7천409명 중 베트남인 3천561명, 중국인 1천330명, 한국계 중국인 582명, 필리핀인 566명, 캄보디아인 385명 등으로 순서가 다르다.

만 6세 이하 외국인 자녀는 2009년의 6만4천40명에 비해서는 2만9천497명(46.1%) 증가했다.

이 기간 만 18세 이하 전체 외국인 자녀 증가 인원은 4만3천465명(10만7천689명→15만1천154명)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