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적차별이 갈등 야기… 종교적 근본주의 위험”

“국적차별이 갈등 야기… 종교적 근본주의 위험”

입력 2011-07-27 00:00
업데이트 2011-07-27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병호 한양대 글로벌다문화연구원장

“유럽의 다문화 갈등이 주로 민족차별, 인종차별의 형태에서 시작되는 것과 달리 우리나라는 ‘국가차별’에서 시작된다. 이는 유럽의 다문화 갈등보다 더 풀기 어려운 숙제가 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정병호 한양대 글로벌다문화연구원장
정병호 한양대 글로벌다문화연구원장
노르웨이 총격 테러사태의 범행 동기가 다문화주의에 대한 반발이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국내 다문화 갈등의 실태를 되짚어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병호(56) 한양대 글로벌다문화연구원장은 국내 다문화 갈등의 주요 특징을 ‘국가 차별’이라고 규정하면서 “이것이 노르웨이 테러의 원인인 반(反)다문화주의보다 당사자들에게 더 큰 박탈감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 원장은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이주민 가운데 상당수가 조선족”이라면서 “이들을 출신 국적에 따라 계급을 나눠, 허드렛일을 하게 한다든지, 고용조건에 차별을 둔다든지 하는 형태는 엄격히 말해 ‘국적차별’”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민족차별에 비해 국가차별은 해결이 더 어려울 수 있다.”면서 “겉모습도 같고 말도 잘 통하는데 국적에 따라 차별한다는 것은 차별의 체감도를 더 높이는 행태”라고 분석했다.



정 원장은 또 “국내에서 점차 득세하고 있는 종교적 근본주의가 위험 수위에 다다랐다.”고 경고했다. 그는 “노르웨이 사태는 단순한 반(反)다문화 갈등이라기 보다는 종교적 근본주의가 증오의 정치와 결합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가를 보여주는 사례”라면서 “이런 차별적인 사회구조와 대중의 인식 등이 폭력적으로 발현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한국사회는 모범적인 다문화·다종교사회였지만, 최근 부각되고 있는 자기 종교 중심주의적인 태도가 잠재적인 폭력행태로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온라인상에서 시작된 타 종교에 대한 배타적·폭력적 태도가 오프라인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는 “이런 동태는 단순히 종교적 갈등뿐만 아니라 아주 쉽게 민족적인 차별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대단히 경계해야 할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정 원장은 “우리 사회의 다문화주의 일원들을 ‘수혜의 대상’이 아닌 주체로 만들 수 있는 인식과 제도가 마련돼야 한다.”는 해법도 제시했다. 그는 “눈 앞의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해주기 위한 보조금이나 캠페인만으로는 극복될 수 없는 문제”라면서 “차별을 금지하는 제도적인 사회적 체제가 우선적으로 정비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 원장은 “우리사회의 다문화 갈등이 가진 잠재적 폭력성이 표출되기 전에 외국인에 대한 고용차별을 없애는 등 그들이 우리 사회의 주체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1-07-27 11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