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여성들 한국ㆍ태국서 자국인과 난자 거래

日 여성들 한국ㆍ태국서 자국인과 난자 거래

입력 2011-07-27 00:00
업데이트 2011-07-27 09: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불임부부 대상 연간 100여명..건당 800만∼900만원

일본의 젊은 여성들이 규제를 피해 한국과 태국 등지에서 자국의 불임 부부에게 사례금을 받고 난자를 제공하고 있다고 아사히신문이 27일 보도했다.

이미지 확대
이 신문에 따르면 일본의 난자 알선업자들은 작년과 올해에 걸쳐 일본의 젊은 여성 100명 이상을 한국과 태국 등으로 보내 난자 제공을 원하는 자국의 불임 부부에게 난자를 알선했다.

난자 제공자가 받는 사례금은 건당 60만∼70만엔(약 800만∼900만원)이며, 알선업자들은 인터넷을 통해 제공자를 모집해 약 2주간 한국과 태국 등지에 보낸뒤 배란 유발제를 주사해 난자를 받아 불임 부부에게 건네고 있다.

난자를 원하는 사람은 제공자의 사진과 신장, 체중, 학력, 핼액형, 성격 데이터 등을 참고해 선택하며, 비용은 난자 제공자에게 주는 사례금과 알선비, 이식비 등을 포함해 약 200만엔(약 2천700만원) 정도가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일본에서는 난자를 필요로 하는 불임 부부들이 주로 미국에서 아시아계 여성으로부터 제공받았으며 비용은 500만엔 정도가 들었다.

일본에서는 2001년 3월 산부인과 학회가 관련 법이 정비될때까지 거래된 난자의 이식 수술을 실시하지않기로 했으며, 그 이후 후생노동성 심의회는 법 정비를 전제로 난자 제공을 용인한다는 보고서를 냈으나 아직 법안이 제출되지 않고 있다.

한국에서는 2008년 법 개정으로 난자 제공자에게 숙박비와 교통비 등의 실비 지불을 허용하고 있으나 난자의 제공 자체는 무상으로 해야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