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거세지는 중국발 해킹

갈수록 거세지는 중국발 해킹

입력 2011-07-29 00:00
업데이트 2011-07-29 11: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네이트가 중국발 악성코드에 의한 해킹으로 3천500만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건이 빚어지면서 중국발 해킹 주의보가 다시 울렸다.

중국은 이달 초 미국 군수업체가 보관중이던 미군 무기시스템 관련 파일 2만4천건이 도난된 사건, 지난달 미 정부 관리와 중국 인권운동가들 사이에 오간 구글 지메일 해킹 건 등을 비롯해 그간 발생한 주요 해킹 사건의 배후로 지목돼 왔다.

중국은 해킹 의혹에 대해 한번도 시인한 적이 없을 뿐 아니라 그런 주장들이 근거가 없고 의도적인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지만 해킹의 목적, 해킹에 사용된 악성코드의 IP(인터넷 주소), 과거의 유사 사례 등을 감안하면 중국을 제외하고는 마땅한 혐의자를 찾기 어려운 것 또한 사실이다.

중국에는 다양한 무리의 해커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첨단기술 등으로 무장한 중국발 해킹의 위력은 갈수록 위세를 떨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이미 군 내에 사이버 부대가 존재하고 있음을 시인했다. 중국 국방부 겅옌성(耿雁生) 대변인은 지난 5월 25일 기자회견에서 광저우(廣州) 군구에 사이버 부대가 설립돼 있다면서 “정보화 수준을 높이고 인터넷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등은 중국이 컴퓨터 전문가들로 구성된 사이버 부대를 통해 해킹을 통한 각종 정부 및 군사 기밀 훔치기 등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중국은 군부뿐 아니라 각종 정보 및 보안 기관에서도 고급 해커 등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고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기관은 유능한 컴퓨터 인재를 애국심에 호소해 해커조직에 끌어들이거나 해킹 기술 등을 가르친 뒤 외국 정부기관뿐 아니라 민간 기업과 단체들의 컴퓨터에 침입해 기밀정보를 빼내는 데 활용하고 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이와함께 돈벌이를 위해 개인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를 빼낸 뒤 팔아넘기는 불법적인 해킹활동을 하는 개인 해커들도 적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세계 정보기술(IT)업계는 중국 전역에서 활동하는 해커가 1천만명 이상에 이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심지어 해커를 양성하는 학원들이 성업중이며 이 학원들은 인터넷을 통해 광고까지 하며 수강생을 끌어들이기도 한다.

이를 바탕으로 자라난 ‘해커 제국’의 위세는 시간이 흐를수록 커지고 있으며 한국 역시 중국발 해킹의 주요 피해국이 되고 있다.

중국발 해킹을 막기위해 온갖 방어벽을 설치했음에도 미국 국방부를 비롯한 정부기관과 주요 기업 등이 중국 해커의 소행인 것으로 의심되는 해킹을 당했으며 한국 역시 이번 네이트 해킹사건 외에 지난 5월 대형포털 4곳의 17만명 개인정보 유출 사건, 지난해 6월의 청와대, 외교통상부에 대한 디도스 공격 등도 중국 해커들이 저지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캐나다의 ‘인포메이션 워페어 모니터’(IWM)는 지난 2009년 3월 고스트넷(GhostNet)이라는 중국에 근거지를 둔 컴퓨터 첩보단이 세계 103개국의 정부·대사관·민간기업 전산망에 침입해 약 1천300대의 컴퓨터에서 민감한 정보들을 절취했다고 발표하기도 했었다.

특히 한국의 개인정보는 중국발 해킹의 주요 대상이 되고 있는데 중국에선 지하 개인정보 매매시장 규모가 연 2조원 정도 되며 주요 대상은 한국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앞으로 중국 해커들의 한국 공격은 갈수록 심해지고 피해 또한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해커들이 노리고 있다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적절한 대비책을 마련하지 못한 채 당하고만 있는 한국업체들의 안이한 대응도 피해를 더욱 키우고 있다.

‘제2의 황사’라고 일컬어지는 중국발 해킹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민간과 정부 등의 실효성 있고 다각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