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檢 의장비서실 압수수색…돈봉투 ‘윗선’ 압박

檢 의장비서실 압수수색…돈봉투 ‘윗선’ 압박

입력 2012-01-19 00:00
업데이트 2012-01-19 1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朴의장 귀국 직후 전격 집행 ‘상황변화’ 관측

검찰이 19일 박희태 국회의장의 최측근인 조정만(51) 정책수석ㆍ이봉건(50) 정무수석 비서관의 국회 사무실과 자택을 전격 압수수색함에 따라 주춤하는 것처럼 보였던 돈 봉투 의혹 수사가 다시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이날 전대 당시 회계책임자로 등재된 함모(38.여) 보좌관이 근무하는 국회의장 부속실과 함씨 자택도 압수수색했다. 대상지는 모두 6곳이다.

검찰이 이날 압수한 증거물 분량은 통상 압수수색에 쓰는 파란색 박스 한 개 정도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전날까지만 해도 의심 가는 인물을 부르고 싶지만 “뭐가 있어야 부를 것 아니냐”라며 어려움을 토로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날 아침 출근시간 이전부터 사전 통보 없이 집행된 압수수색을 놓고 검찰이 갑자기 행동에 나설 만한 ‘상황 변화’가 있었던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박 의장이 전날 해외순방을 마치고 귀국해 입장을 표명한 지 단 하루 만에 검찰이 의장실을 직접 겨냥해 강제수사 수단을 동원한 것을 두고 추측이 분분하다.

우선 검찰이 안병용(54.구속) 은평갑 당협위원장, 박 의장 전 비서 고명진(40)씨 등 주요 피의자와 참고인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 2008년 전당대회 돈 봉투 살포와 관련해 ‘윗선’을 압박할 만한 중요 진술이나 증거를 확보했을 것으로 짐작해볼 수 있다.

또 당시 박희태 후보 캠프의 자금 관리를 총괄한 조정만 수석비서관 등을 대상으로 한 계좌추적에서 돈 봉투 출처와 관련한 단서가 포착됐을 가능성도 있다.

이와 관련 검찰의 한 관계자는 “직접 증거는 아니지만 정황 증거는 좀 있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특정한 범죄 혐의와 관련된 정황을 제시해야 압수수색 영장을 받을 수 있다는 점, 섣불리 강제수사에 나서지 않는 현 수사팀의 성향, 압수수색 대상이 입법부 수장인 국회의장 비서실·부속실이라는 점 등을 고려할 때 검찰이 단순히 심증만으로 칼을 뽑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반대로 그동안 조사에서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한 검찰이 돌파구를 마련하는 차원에서 압수수색을 시도했을 수도 있다는 관측도 있다.

2008년 전대 당시 구의원 5명에게 현금 2천만원을 돌리라고 지시한 혐의를 받는 안 위원장이나 고승덕 의원실에서 300만원이 든 돈 봉투를 돌려받은 고 전 비서는 그동안 조사에서 돈 봉투 출처에 관한 한 철저히 입을 다문 상황이었다.

이대로 진술에만 의존하다가는 돈 봉투 살포 지시 라인을 캐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느낀 검찰이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정공법에 나섰을 개연성도 적지 않다는 것이다.

검찰 관계자는 “지금까지 의장 비서실과 수석실을 압수수색하지 않은 것은 국회의장이 공식일정으로 해외순방 중인데 수행원의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는 것은 의장에 대한 예우가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해외 순방 중이기 때문에 망설였는데 귀국한 이상 정면돌파를 한다는 심정으로 강제수사 절차에 들어갔다는 것이다.

검찰은 조만간 조정만·이봉건 수석비서관을 조사하기에 앞서 이날 압수수색을 통해 입수한 자료를 통해 압박용 카드를 최대한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조·이 수석비서관은 2008년 전대 당시 캠프 상황실장이던 김효재 청와대 정무수석과 함께 ‘캠프 3인방’으로 불리며 박희태 후보 진영을 실질적으로 이끈 인물들이다.

박 의장을 21년째 보좌하는 조 수석비서관은 박 의장의 집사로 불리며 캠프 ‘금고지기’ 역할을 했고, 이 수석비서관은 캠프의 공보·메시지 업무를 주로 담당했다.

검찰은 곧 이들을 소환해 당시 캠프 자금의 출처와 흐름을 집중적으로 파헤칠 계획이다. 이들을 상대로 한 수사 성과가 검찰이 의혹의 정점에 서 있는 박 의장을 직접 겨냥할 수 있을지 판가름하는 변수가 될 전망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