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남의 기술 따라 말고 남의 성공 좇지 마라…그게 창의, 창조경제

남의 기술 따라 말고 남의 성공 좇지 마라…그게 창의, 창조경제

입력 2013-04-04 00:00
업데이트 2013-04-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실리콘밸리 뇌파 벤처 ‘뉴로스카이’ 창업한 이구형 박사

‘창조경제’의 개념을 둘러싸고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새로운 아이디어의 창출’, ‘기존 기술과의 융·복합’ 등 수많은 정의가 난무하지만 듣는 사람 입장에서는 여전히 뜬구름 잡는 소리다.

이미지 확대
이구형 박사
이구형 박사
뉴로스카이가 개발한 집중력 훈련기. 정신을 집중하면 고양이 모양의 귀가 쫑긋 서고 분산되면 가라앉는다.
뉴로스카이가 개발한 집중력 훈련기. 정신을 집중하면 고양이 모양의 귀가 쫑긋 서고 분산되면 가라앉는다.
미국 실리콘밸리의 뇌파 연구 전문 벤처 ‘뉴로스카이’가 창조경제의 개념에 정확히 들어맞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2004년 설립된 뉴로스카이는 뇌파 측정·분석 기술을 컴퓨터 게임, 장난감 등에 결합하는 아이디어로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주목받는 벤처로 자리 잡았다. 지금까지 유치한 투자금만 5000만 달러가 넘고 전 세계 약 2000개의 협력사를 갖고 있다. 뉴로스카이의 기술은 2009년과 2010년 ‘전미 기술 혁신상’을 수상했다. 특히 발견된 지 100년이 넘어 특허조차 나오지 않는 뇌파에 아이디어를 결합해 새로운 산업을 만들어낸 독특한 사례로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

뉴로스카이의 공동 창업자는 한국인 이구형(60) 박사와 임종진(47) 박사다. 뉴로스카이의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맡고 있는 이 박사를 3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에서 열린 리더스 특강을 앞두고 만났다. 서울대와 미국 버지니아공대를 나온 이 박사는 LG전자에서 10년 이상 연구원으로 일하다 실리콘밸리로 건너가 창업에 도전한 특이한 경력을 갖고 있다.

이 박사는 “한국이 가장 신경 써야 하는 것은 창의성 교육”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에서 가장 부족한 것이 창의성인데 이를 생략한 채 창조경제를 논하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했다. 그는 “취업에 실패한 사람들이 어쩔 수 없이 창업을 하는 사회에서 과연 창업이 성공할 수 있겠느냐”면서 “사장이 되는 교육과 사원이 되는 교육은 분명히 다르다”고 지적했다. 이어 “과거 한국 기업들은 복장 자율화, 출퇴근 자율화가 창조성을 계발하는 방법인 것처럼 여겼지만 창조성은 결코 마음대로 하라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획일적으로 교육을 받으며 억눌린 창조성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오히려 더 강제적이고 집중적인 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창조적 생태계의 대표적 모델로 꼽히는 실리콘밸리에 대해서는 “이곳에도 분명히 밝은 면과 어두운 면이 공존한다”고 했다. 그는 실리콘밸리를 라스베이거스의 카지노에 비유했다. 수많은 슬롯머신이 있지만 그중에 돈을 벌 수 있는 기계는 10개 미만인 것처럼 성공은 하늘의 별 따기라는 것이다.

그는 “실리콘밸리에 가장 많은 건 가구점과 중고 상점인데 그만큼 망하는 곳이 많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장점으로는 “아이디어에 대한 존중, 투자나 기술력에 대한 명확한 법적 보호 장치가 마련돼 있다는 것”을 꼽았다. 이 박사는 “한국에서는 다른 사람이 성공하면 그 기술을 따라 하지만 실리콘밸리에서는 다른 사람이 성공한 것은 피하려는 차이가 있다”면서 “이 차이가 실리콘밸리를 세계적인 창조 생태계로 만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에는 ‘공정 경쟁’ 장치의 마련을 주문했다. 창조적인 아이디어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빼앗기거나 이용당하지 않고 사업을 유지할 수 있는 건전한 경쟁을 보장해 줘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정부가 심판이 돼서 불법적인 부분이나 대기업의 과도한 횡포 등을 막아 공정 경쟁이 가능하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 주도의 정책은 정부의 방향이 바뀌면 한순간에 끝나 버리지만 결국 성공을 보장하는 것은 시장에 적합하고 시장을 바꾸는 산업”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창업자가 모든 것을 갖고 나누지 않으려는 한국적 사고를 버려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박사와 공동 창업자인 임 박사 역시 타이완계 전문 경영인에게 기업을 맡기고 현재는 기술 개발에만 주력하고 있다. 이 박사는 “파이를 나누는 것보다 파이를 키워서 기업을 공개하면 결국 내 몫도 늘어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