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복제카드 피해액 작년 100억 샜다

복제카드 피해액 작년 100억 샜다

입력 2013-07-01 00:00
업데이트 2013-07-01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포스 단말기 해킹’ 손 놓은 금융당국

국내 고객들의 신용카드 정보가 전국 카드 가맹점의 ‘포스(POS·Point of Sale)단말기 해킹’을 통해 해외로 유출돼 불법으로 사용되는 사례가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이 같은 문제가 4년 전 처음 기사화<서울신문 2009년 11월 4일자 1면>된 뒤 금융감독원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여러 대책을 내놨지만 피해 사례는 오히려 늘고 있다.


30일 금감원에 따르면 국내외 신용카드 부정(위·변조) 사용 건수와 피해액은 2009년 2486건, 45억원에서 지난해 1만 5819건, 101억원으로 급증했다. 불법 복제된 카드는 대부분 유럽과 미국 등 해외에서 사용되고 있다.

2009~2012년 카드사별 피해는 B카드가 매년 전체 피해액의 20% 이상을 차지해 가장 많았고 K카드가 13% 안팎으로 2위를 기록했다. 또 W카드는 카드 시장 점유율이 7%에 불과하지만 피해 규모는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포스단말기 해킹에 정통한 한 경찰 관계자는 “신용카드 부정 사용의 80% 이상이 포스단말기 해킹을 통해 빼낸 카드 정보를 이용해 복제카드를 만들어 불법 사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카드사들이 금감원에 자발적으로 신고한 피해액이 지난해 기준 100억원”이라면서 “카드사들이 대외 이미지를 고려해 쉬쉬하는 것까지 감안할 경우 연간 피해액은 수백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의 부실한 대책과 책임 떠넘기기가 해킹을 사실상 방치하고 있다는 비판도 적지 않다. 금감원 관계자는 “포스단말기 해킹 방지를 위한 보안 강화는 여신금융협회에서 담당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반면 여신금융협회 관계자는 “금감원이 포스단말기 해킹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그 내용에 대해선 우리가 답할 사안이 아니다”라며 금감원의 눈치만 보고 있다.

포스단말기는 백화점·할인점·편의점·식당·주유소 등 대부분의 업소에 설치돼 있는 단말기로 여기에 카드번호·유효기간 등 모든 신용정보가 저장돼 있어 카드 불법복제를 노린 해커들의 집중 표적이 되고 있다.

최지숙 기자 truth173@seoul.co.kr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3-07-01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