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림빵 뺑소니’ 피의자 구속영장…사고 당시 만취운전

‘크림빵 뺑소니’ 피의자 구속영장…사고 당시 만취운전

입력 2015-01-30 09:03
업데이트 2015-01-30 16: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고 차량 부모 집에 두고 부품 사서 직접 수리…사고 은폐 기도

경찰이 ‘크림빵 아빠’ 강모(29)씨를 치어 숨지게 하고 달아난 피의자 허모(37)씨에 대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도주 차량 혐의로 30일 구속영장을 신청하기로 했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청주 흥덕경찰서는 이날 새벽 허씨를 상대로 추가 조사한 결과, 사고 전날부터 회사 동료와 소주를 마신 뒤 자신의 윈스톰 차량을 몰고 귀가하다가 사고를 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이미지 확대
일명 ‘크림빵 뺑소니’로 불리는 사건의 용의자가 29일 밤 11시 8분쯤 자수해 충북 청주 흥덕경찰서에서 조사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일명 ‘크림빵 뺑소니’로 불리는 사건의 용의자가 29일 밤 11시 8분쯤 자수해 충북 청주 흥덕경찰서에서 조사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그래픽> ‘크림빵 뺑소니’사고 당시 피의자 도주 경로
<그래픽> ‘크림빵 뺑소니’사고 당시 피의자 도주 경로 경찰이 ‘크림빵 아빠’ 강모(29)씨를 치어 숨지게 하고 달아난 피의자 허모(37)씨에 대해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도주 차량 혐의로 30일 구속영장을 신청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경찰은 이르면 이날 허씨에 대한 구속영장을 신청할 방침이며, 사고 당시 상황을 명확히 하기 위해 현장 검증도 벌일 계획이다.

허씨는 경찰 조사에서 “당시 혼자 마신 술이 소주 4병 이상”이라며 “사람을 친 줄 몰랐다. 조형물이나 자루 같은 것인 줄 알았다”고 진술했다고 경찰은 전했다.

허씨는 사고 나흘 뒤인 지난 14일께 인터넷 뉴스기사를 보고 비로소 자신이 사람을 치어 숨지게 했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았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경찰은 허씨의 이같은 진술에 신빙성이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박세호 서장은 “허씨가 사고 현장서 집이 있는 사직동으로 가기 위해 샛길을 이용했는데 그 길은 아는 사람 외에는 못 간다고 했다. 뒤에 추적해오는 차량이 없다고 말한 것으로 봐서는 과실로 사고를 냈는데 사람으로 인지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허씨는 또 사고를 내고 이틀에 한 번꼴로 청주에 있는 집에 왔고, 평소처럼 청원구 오창에 있는 회사에 정상적으로 출근한 것으로 조사됐다.

집에 들어가지 않을 때는 동료의 집 등에서 생활한 것으로 알려졌다.

허씨의 윈스톰 차량은 충북 음성군에 있는 그의 부모 집에서 발견됐다. 허씨는 이 차량을 지난 21일 이곳에 가져다 놨다.

자동차 부품 관련 회사에 다니는 허씨는 범행이 발각될 것을 우려해 지난 24일께 친구와 함께 충남 천안의 한 정비업소에서 라디에이터 그릴, 안개등 커버, ‘번호판 다이(받침)’ 등 부품 3개를 산 뒤 부모 집에서 직접 고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점으로 미뤄 경찰은 허씨가 범행이 은폐하려다가 용의 차량이 윈스톰으로 특정되는 등 경찰 수사망이 좁혀오자 심리적 압박을 느껴 지난 29일 뒤늦게 자수를 결심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은 확보한 윈스톰 차량을 흥덕경찰서 주차장에 보관 중이다.

허씨는 사건 발생 19일 만에 자수한 이유에 대해 “집안 사정이 좋지 않아 주변을 정리하고 나서 자수하려고 했다”고 말했다.

허씨를 용의자로 특정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차량등록사업소 CCTV를 확인하지 못한 것과 관련, 박 서장은 “(미리 CCTV를 확보하지 못한 것은) 저희들의 불찰”이라면서도 “새로운 CCTV를 확보해 결과론적으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경찰은 또 신고자에게 현상금 500만원을 주기로 한 만큼 규정과 절차를 검토해 지급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허씨는 지난 10일 오전 1시 29분께 임신 7개월 된 아내의 임용고시 응시를 돕기 위해 화물차 기사 일을 하던 강모(29)씨를 차로 치어 숨지게 한 혐의로 긴급체포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