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블로그] 줄줄이 “회원 탈퇴”… 교총 홈피, 비공개 전환

[현장 블로그] 줄줄이 “회원 탈퇴”… 교총 홈피, 비공개 전환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5-10-15 23:16
업데이트 2015-10-16 0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가 사실상 확정돼 공식 발표만 남겨 놓고 있던 지난 8일. 정부·여당이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국정화에 대한 의견을 묻기 위해 전국 최대 규모의 교원 연합회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에 전화를 했습니다. 교총 관계자는 “교사 등 현장의 의견을 반영해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걸 교총의 공식 입장으로 생각해도 되겠느냐”고 물었습니다. 그러자 그 관계자는 “개인적인 생각이고, 공식 입장은 회원들의 의견을 수렴한 뒤에 발표될 예정”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그래서 그날 작성한 기사에는 선명하게 입장을 밝힌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의 입장만 반영됐습니다.

교총은 교육부의 공식 발표를 하루 앞둔 11일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찬성한다”는 공식 입장을 냈습니다. 그 근거로 ‘교총 대의원과 시·군·구 회장 및 사무국장, 학교 분회장 등 10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62.4%가 국정화에 찬성했다’는 결과를 제시했습니다. 지난 9월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 김태년 의원이 전국 중·고교 사회과 교원 2만 4195명을 조사했을 때 77.7%의 반대 의견이 나왔던 것과는 정반대의 결과였습니다.

그런데 후폭풍이 심상치 않습니다. 국정화 찬성 입장을 밝힌 뒤 교총 홈페이지에 소속 교사들이 실명으로 탈퇴 의사를 밝히는 글을 줄줄이 올리고 있습니다. 홈페이지에 있는 ‘가입 및 탈퇴 게시판’을 이용하지 않고, 자신의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히기 위해 자유게시판에 글을 올리는 교사들이 적지 않습니다. 자신을 27년째 교총 회원이라고 밝힌 교사는 “개인적으로 국정화에 찬성, 반대 어떤 입장도 정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어떻게 일반 회원의 의사를 묻지도 않고 입장을 정할 수 있는가”라며 탈퇴 의사를 밝혔습니다. 국정화에 반대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았지만, 탈퇴 의사를 밝힌 상당수 회원들은 민주적 의견수렴 과정이 없었다는 점을 성토했습니다. 이런 반발이 외부에 알려지고, 언론에서 취재에 들어가자 교총은 15일 오후 자유게시판을 외부 비공개로 전환했습니다. 교총 집행부의 이런 모습들이 정부·여당의 교과서 국정화 추진 과정과 비슷하다고 느껴지는 것은 왜일까요.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5-10-16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