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지난 여름 폭염, 몽골·유라시아 지역의 건조한 토양이 주범”

“지난 여름 폭염, 몽골·유라시아 지역의 건조한 토양이 주범”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6-10-27 15:29
업데이트 2016-10-27 15: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7월 말부터 한 달 이상 밤낮없이 이어진 올 여름 ‘가마솥’ 더위의 원인은 한반도 북쪽에 있는 몽골과 중북부 유라시아 지역의 건조한 날씨가 원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전남대 지구환경과학부 정지훈 교수팀은 지난 7월 말부터 2주 이상 몽골 부근에 머물면서 이 지역의 환경과 한반도 기온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올 여름 폭염은 유라시아 중북부 지역에서 봄철부터 시작된 토양 건조현상 때문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정 교수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31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2016 한국기상학회 가을학술대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카스피해에서 몽골까지 이어지는 유라시아 중북부 지역에서 올 봄~여름까지 토양 건조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몽골 지역을 중심으로 평년보다 눈이 빠르게 녹으면서 지면에 흡수되는 태양 복사에너지가 늘고 비는 내리지 않아 땅이 마르게 된 것이다.

이 과정에서 건조해진 토양은 여름철에 땅과 가까운 하층 대기를 가열시키는 효과가 커 한반도에 기록적 폭염을 몰고 온 열적 고기압 형성을 강화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폭염이 가장 심했던 8월 초 몽골지역의 뜨거운 토양 바로 위에 있는 공기가 가열돼 기온을 크게 올리고 이 뜨거운 공기는 토양을 더욱 건조하게 만드는 상호작용이 나타나면서 열적 고기압이 이례적으로 오랜 기간 지속될 수 있었다.

 정 교수는 “지면과 대기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이런 현상을 주로 유럽지역에서 발생하는 폭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흔한 현상은 아니다”라며 “캄차카 반도 지역에 형성된 블로킹 고기압에 의해 동아시아 지역의 대기 흐름이 장기간 정체되면서 지면-대기 상호작용이 발생했고 그 기간도 길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