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수석의 몰락…일반 범죄자처럼 증거인멸 지시

청와대 수석의 몰락…일반 범죄자처럼 증거인멸 지시

입력 2016-11-20 16:28
수정 2016-11-20 16: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경련 부회장에 휴대전화 폐기 요구…관련자들 이메일 삭제

20일 구속기소 된 ‘비선 실세’ 최순실(60)씨와 안종범(57)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의 공소장엔 이들이 마치 일반 범죄자처럼 증거인멸을 시도한 정황도 고스란히 드러났다.

가장 눈에 띄는 건 차관급 공무원이자 국정 운영의 핵심 멤버였던 안 전 수석이 마치 보통의 형사사건 범죄자처럼 자신과 문자·전화·이메일을 주고받은 이들에게 자료 폐기를 요구하거나, 검찰에서 허위 진술을 종용하는 대목이다.

검찰에 따르면 안 전 수석은 수사가 가시화한 10월부터 대기업 강제 모금 통로였던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이승철 부회장에게 전화를 걸어 “검찰에서 압수수색을 나올 테니 휴대전화를 폐기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이 부회장은 직원을 시켜 안 전 수석과 통화 내역·문자 메시지가 저장된 휴대전화 기기를 전문 처리 업자를 통해 없앴다.

안 전 수석은 또 부하 직원을 시켜 자신과 연락을 주고받은 K스포츠재단 관계자들에게 휴대전화를 은닉하고 이메일을 삭제하게 했다.

나아가 검찰 소환을 앞둔 이들에게 ‘재단 임직원은 전경련 협의로 진행된 것이라 말하라’며 거짓 진술을 시켰다.

검찰은 같은 시기 안 전 수석뿐 아니라 독일에 있던 최씨 역시 측근들을 동원해 자신이 횡령 목적으로 만든 회사 ‘더블루K’의 컴퓨터 5대를 없애라고 지시한 사실을 확인했다.

측근들은 해당 컴퓨터 5대를 숨겼다가 하드디스크를 모두 포맷한 뒤 서울시 구로구 한 사무실에서 망치로 내려쳐 복원이 불가능한 상태로 만든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은 최씨와 안 전 수석의 ‘증거인멸 교사’ 행위가 무겁다고 보고 이날 공소장에 직권남용과 함께 혐의로 적시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