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김상률·김종덕 소환…‘블랙리스트 윗선’ 정조준

특검, 김상률·김종덕 소환…‘블랙리스트 윗선’ 정조준

입력 2017-01-08 14:17
수정 2017-01-08 14: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피의자 신분…지시 여부·문체부 하달·관리 경위 조사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8일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의혹과 관련해 김상률(57)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 중이다.

김 전 수석은 이날 오후 2시께 강남구 대치동 특검 사무실에 출석해 ‘누구의 지시로 블랙리스트를 문화체육관광부에 전달했냐’는 질문에 아무런 대답을 하지 않고 조사실로 향했다.

김 전 수석은 2014년 12월부터 작년 6월까지 청와대에서 문체부 업무를 관장하는 교육문화수석을 지냈다.

‘문화계 황태자’로 불린 차은택(48·구속기소) 전 창조경제추진단장과의 외삼촌인 그는 숙명여대 교수이던 2014년 8월 대통령 직속 문화융성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됐고 이어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에 전격 발탁됐다.

그는 ‘좌파 성향’의 문화예술인을 정부 지원에서 배제하기 위해 작성된 블랙리스트 관리에 개입한 혐의를 받는다.

특검은 그가 청와대 정무수석실에서 작성된 리스트를 문체부로 내려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앞서 이날 오전 10시께 김종덕(60) 전 문체부 장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김 전 장관 역시 2014년부터 작년 9월까지 문체부 장관으로 재직하며 블랙리스트 관리에 개입한 혐의를 받는다.

블랙리스트 최종본에는 약 1만명에 이르는 문화예술계 인사들이 ‘좌파 성향’으로 지목돼 정부 지원 배제 대상으로 분류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블랙리스트 작성을 최초로 주도한 ‘윗선’의 존재, 문체부까지 내려온 경로 등을 집중적으로 캐묻고 있다.

특검은 전날 정관주(53) 전 문체부 1차관과 신동철(56)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는 등 관련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들의 조사가 마무리되면 이르면 금주 중 조윤선(51) 문체부 장관과 김기춘(78) 전 청와대 비서실장을 소환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김 전 실장은 블랙리스트 작성을 지시했다는 의심을 사고 있으며, 조 장관은 청와대 정무수석 재직 당시 리스트 작성에 관여한 의혹을 받는다. 이들은 모두 리스트를 알지 못한다며 의혹을 전면 부인한 바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