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 야외활동이 늘면서 야생 독버섯을 식용으로 잘못 알고 먹었다가 중독 사고가 나는 경우가 많으니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7일 농촌진흥청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12∼2016년 독버섯으로 인한 중독 사고 환자 수는 75명으로, 이 중 7명이 목숨을 잃었다.
연도별로 보면 2012년 32명이었던 환자 수는 지속해서 감소하다 2016년 다시 19명으로 증가했다.
전체 발생 건수 대비 평균 환자 수는 3.4명으로, 1건의 독버섯 중독 사고에 여러 명의 피해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채취해 온 버섯을 가족이나 지인이 나눠 먹으면서 피해자가 여러 명으로 늘어났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지난해 7월에는 서울 관악구에서 5명이 독버섯의 한 종류인 마귀광대버섯을 나눠 먹었다가 중독 증세로 치료를 받았고, 두 달 뒤 경기 포천군에서도 어린이를 포함한 5명이 독버섯인 삿갓외대버섯을 먹었다가 중독되는 사고가 났다.
독버섯 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버섯 구분법’에 관한 속설을 믿지 말고, 날버섯은 가급적 먹지 말아야 한다.
만약 야생에서 버섯을 채취해 먹은 후 6∼24시간 내 현기증을 비롯한 구토, 두통, 복통 및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정확한 진단을 위해 먹었던 버섯을 병원에 가져가 독버섯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독버섯에 관한 정보가 필요할 경우 국립수목원에서 만든 ‘독버섯 바로알기’ 앱을 내려받으면 80여종의 독버섯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7일 농촌진흥청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12∼2016년 독버섯으로 인한 중독 사고 환자 수는 75명으로, 이 중 7명이 목숨을 잃었다.
연도별로 보면 2012년 32명이었던 환자 수는 지속해서 감소하다 2016년 다시 19명으로 증가했다.
전체 발생 건수 대비 평균 환자 수는 3.4명으로, 1건의 독버섯 중독 사고에 여러 명의 피해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채취해 온 버섯을 가족이나 지인이 나눠 먹으면서 피해자가 여러 명으로 늘어났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지난해 7월에는 서울 관악구에서 5명이 독버섯의 한 종류인 마귀광대버섯을 나눠 먹었다가 중독 증세로 치료를 받았고, 두 달 뒤 경기 포천군에서도 어린이를 포함한 5명이 독버섯인 삿갓외대버섯을 먹었다가 중독되는 사고가 났다.
독버섯 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버섯 구분법’에 관한 속설을 믿지 말고, 날버섯은 가급적 먹지 말아야 한다.
만약 야생에서 버섯을 채취해 먹은 후 6∼24시간 내 현기증을 비롯한 구토, 두통, 복통 및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정확한 진단을 위해 먹었던 버섯을 병원에 가져가 독버섯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독버섯에 관한 정보가 필요할 경우 국립수목원에서 만든 ‘독버섯 바로알기’ 앱을 내려받으면 80여종의 독버섯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