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깜빡이며 주변 보는 상태···신원과 귀순 동기 조사 어려워 의료진 “생존 가능성 예단 어려워···당분간 상태 봐야”며 조심
지난 13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를 통해 귀순하는 과정에서 북한의 총격을 받아 중상을 입은 귀순 병사가 입원 치료중인 수원 아주대병원에서 의식을 회복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이미지 확대
13일 오후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에서 총상을 입은 채 귀순한 북한 군 병사의 수술을 맡은 이국종 아주대병원 교수와 군 관계자가 북한 군 병사의 상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3일 오후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에서 총상을 입은 채 귀순한 북한 군 병사의 수술을 맡은 이국종 아주대병원 교수와 군 관계자가 북한 군 병사의 상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YTN은 20일 오후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귀순 병사가 눈을 깜빡이며 주변을 둘러볼 정도로 의식이 돌아왔다”고 전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기도 삽관까지 제거할 만큼 건강이 회복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귀순 병사는 “여기가 어딘지 알겠느냐”는 의료진의 물음에 반응을 하진 못했다. 아직 말문을 열지 못한 상태여서 정확한 신원이나 귀순 동기에 대한 조사는 당장 이뤄지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YTN이 전했다.
이미지 확대
귀순 북한 병사 수술결과 브리핑 15일 오후 경기도 수원 아주대병원에서 이국종 교수가 총상을 입은 채 귀순한 북한군 병사의 수술결과 및 환자 상태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귀순 북한 병사 수술결과 브리핑
15일 오후 경기도 수원 아주대병원에서 이국종 교수가 총상을 입은 채 귀순한 북한군 병사의 수술결과 및 환자 상태에 대한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료진은 아직 북한 병사의 생존 가능성을 예단하긴 어렵다며 당분간 상태를 지켜봐야 한다는 조심스런 입장을 보였다.
이기철 기자 chul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