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기지 100m 옆에 산불…3시간 30분만에 진화

사드기지 100m 옆에 산불…3시간 30분만에 진화

신성은 기자
입력 2017-11-20 09:36
수정 2017-11-20 09: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군·경 대공용의점 조사…지난 5월 산불과도 비교분석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기지 바로 옆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산불이 발생해 3시간 30여분만에 꺼졌다.

지난 19일 오후 11시께 경북 성주군 초전면 월곡리 달마산(해발 680m) 등반로 인근에서 불이 나 3시간 30여분만에 사드기지 군인 80여명과 성주소방서에 의해 진화됐다.

산불 발생지점은 사드기지 울타리(초소)에서 직선거리 100여m 떨어진 곳이고, 피해면적은 6천여㎡(가로·세로 각 80여m)이다.

산불은 달마산 능선인 해발 600m 지점에서 발생했는데 사드기지 초소도 같은 높이에 자리 잡고 있다.

사드기지를 타원형으로 봤을 때 산불 지점은 사드 발사대와는 가장 먼 쪽이다.

사드기지내 초소병들이 산불을 발견하자마자 등짐 물펌퍼 등을 들고 현장에 달려가 산불을 껐다. 소방차 5대가 사드기지에 대기했으나 불은 사드기지로 번지지 않았다.

야간에 바람이 산 아래쪽으로 불어 불이 정상으로 번지지 않은 덕분에 진화할 수 있었다고 군 관계자는 설명했다.

경찰과 군은 대공 용의점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특히 지난 5월에도 사드기지에서 직선거리 340여m인 달마산 정상에서 산불이 난 점을 주목해 비교분석하고 있다.

다만 저번 산불의 경우 오후 7시 30분 발생해 대공용의점이 적은 것으로 판단했지만, 이번에는 심야에 돌산인 달마산에 일반 등반객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방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