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대상 여론조사…“불확실한 미래에 행복도 급감”
“경제력과 행복은 비례” 응답…14% “혼자 있을 때 가장 행복하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들의 행복도가 크게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중고생 10명 가운데 3명은 “행복은 성적순”이라고 응답했다. 수십년이 지나도 변치 않는 대학입학시험 위주의 주입식 교육, 1등부터 꼴등까지 ‘줄세우기’식 교육 환경 속에 우리 청소년들의 행복도가 급락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 이유다.
27일 재단법인 행복세상에 따르면 창립 10주년을 맞아 여론조사전문기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이달 5∼10일 전국 중고생 800명을 대상으로 ‘행복의식 청소년 여론조사’를 벌인 결과 이렇게 분석됐다.
중고생 가운데 스스로 행복하다고 느끼는 비율은 절반 수준인 53.7%(매우 행복하다 22.6%, 조금 행복하다 31.1%)에 그쳤다.
이는 2011년 11월 벌인 같은 조사에서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낀 비율 58.6%보다 4.9% 포인트 낮은 수치다. 특히 고교생의 행복도는 2011년 56%에서 2017년 47%로 9% 포인트 급감했다.
학생들이 느끼는 행복도는 성적순대로 조사됐다. 1∼2등급 학생들은 60.7%가 행복하다고 답했고 3∼4등급(59.8%), 5∼7등급(48.1%), 8∼9등급(39.3%)으로 갈수록 행복하다는 응답이 적었다.
‘행복은 성적순이라는 말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10명 중 3명꼴인 28.9%는 ‘동의한다’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70.4%로 나왔다.
경제력과 행복도도 비례했다. 경제력이 있는 환경에 자란 학생일수록 행복도도 높았다.
경제적으로 상층이라고 응답한 청소년의 행복도는 64.2%지만 중간층과 하층의 행복도는 각각 58.5%와 28.4%로 나타났다.
‘누구와 함께 있을 때 행복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역시 ‘친구’(47.5%)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가족은 25.8%에 불과했다. 이성 친구(7.9%),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만난 사람(1.6%) 등 순이었다. 선생님·멘토라는 응답은 0.8%에 불과했다. 심지어 혼자 있을 때 가장 행복하다는 응답도 14.2%에 달했다.
청소년들이 꿈꾸는 행복한 세상은 ‘자기 가치에 충실하고 자기 꿈을 펼칠 수 있는 세상’(43.8%), ‘차별을 받지 않는 세상’(15%),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세상’(11.2%), ‘기회나 경쟁이 공정한 세상’(10.2%)이었다.
행복세상은 “고교생의 행복도가 급락한 것은 일반국민 여론조사에서 20대의 행복도가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것과 같은 현상”이라며 “20대뿐 아니라 중고생들도 불확실한 미래로 행복도가 떨어지는 동조현상을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성적 차로 인한 행복감 격차는 2011년 조사 때보다 줄었지만 경제적 계층에 따른 행복감 격차는 더 커졌다”면서 “친구와 함께 있을 때 행복하다는 응답도 2011년 조사 당시 31%보다 16.5%나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46%P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경제력과 행복은 비례” 응답…14% “혼자 있을 때 가장 행복하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들의 행복도가 크게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중고생 10명 가운데 3명은 “행복은 성적순”이라고 응답했다. 수십년이 지나도 변치 않는 대학입학시험 위주의 주입식 교육, 1등부터 꼴등까지 ‘줄세우기’식 교육 환경 속에 우리 청소년들의 행복도가 급락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 이유다.
지난 16일 오전 서울 중구 종로학원에서 수험생들이 공부하고 있다. 지난 15일 경북 포항 북구 일대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이날로 예정돼 있던 2018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수험생 안전 등의 이유로 일주일 연기돼 오는 23일 실시된다.
뉴스1
뉴스1
중고생 가운데 스스로 행복하다고 느끼는 비율은 절반 수준인 53.7%(매우 행복하다 22.6%, 조금 행복하다 31.1%)에 그쳤다.
이는 2011년 11월 벌인 같은 조사에서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낀 비율 58.6%보다 4.9% 포인트 낮은 수치다. 특히 고교생의 행복도는 2011년 56%에서 2017년 47%로 9% 포인트 급감했다.
학생들이 느끼는 행복도는 성적순대로 조사됐다. 1∼2등급 학생들은 60.7%가 행복하다고 답했고 3∼4등급(59.8%), 5∼7등급(48.1%), 8∼9등급(39.3%)으로 갈수록 행복하다는 응답이 적었다.
‘행복은 성적순이라는 말에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10명 중 3명꼴인 28.9%는 ‘동의한다’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70.4%로 나왔다.
경제력과 행복도도 비례했다. 경제력이 있는 환경에 자란 학생일수록 행복도도 높았다.
경제적으로 상층이라고 응답한 청소년의 행복도는 64.2%지만 중간층과 하층의 행복도는 각각 58.5%와 28.4%로 나타났다.
‘누구와 함께 있을 때 행복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역시 ‘친구’(47.5%)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가족은 25.8%에 불과했다. 이성 친구(7.9%),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만난 사람(1.6%) 등 순이었다. 선생님·멘토라는 응답은 0.8%에 불과했다. 심지어 혼자 있을 때 가장 행복하다는 응답도 14.2%에 달했다.
청소년들이 꿈꾸는 행복한 세상은 ‘자기 가치에 충실하고 자기 꿈을 펼칠 수 있는 세상’(43.8%), ‘차별을 받지 않는 세상’(15%),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세상’(11.2%), ‘기회나 경쟁이 공정한 세상’(10.2%)이었다.
행복세상은 “고교생의 행복도가 급락한 것은 일반국민 여론조사에서 20대의 행복도가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것과 같은 현상”이라며 “20대뿐 아니라 중고생들도 불확실한 미래로 행복도가 떨어지는 동조현상을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성적 차로 인한 행복감 격차는 2011년 조사 때보다 줄었지만 경제적 계층에 따른 행복감 격차는 더 커졌다”면서 “친구와 함께 있을 때 행복하다는 응답도 2011년 조사 당시 31%보다 16.5%나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46%P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