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임우재 삼성 前고문 뇌물의혹 무혐의 종결…의혹 남아

경찰, 임우재 삼성 前고문 뇌물의혹 무혐의 종결…의혹 남아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5-30 09:41
업데이트 2018-05-30 09: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무원 통장 속 ‘수상한 돈’ 출처 못 밝히고 수사 마무리

경찰이 서울 중구청 공무원들의 비리를 1년 넘게 수사한 끝에 ‘뇌물 의혹’이 제기됐던 임우재 전 삼성전기 고문이 공무원에게 돈을 건네지 않았다고 결론 내렸다.
이미지 확대
임우재 전 삼성전기 상임고문
임우재 전 삼성전기 상임고문 연합뉴스
그러나 일부 의문이 해소되지 않은 채 남아 앞으로 검찰 수사와 재판에서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30일 경찰에 따르면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지난해 4월 서울시로부터 ‘중구청 도심재생과 팀장 임 모 씨가 임우재 전 삼성전기 고문으로부터 돈을 빌리고 갚지 않았다’는 내용의 수사 의뢰를 받고 수사에 나섰다.

의혹의 핵심은 임 씨의 통장에 2013년 10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한 번에 수백만 원씩 수백 차례에 나눠 입금된 총 7억5천만원의 돈이었다.

공무원의 소득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돈의 출처를 추궁당한 임 씨는 “임 전 고문과 친분이 있는데 호의로 빌린 돈”이라고 주장했고, 임 전 고문도 이와 같은 취지로 진술했다.

그러나 경찰은 이들 주장과 달리 돈이 오가지 않았다고 봤다. 임 전 고문이 지난 4년 동안 계좌에서 인출한 현금은 6천200만원에 지나지 않는 데다 자택 압수수색에서도 현금다발이 발견되지 않았고, 돈을 건넨 흔적도 찾을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경찰은 이들의 진술에도 신빙성이 없다고 봤다. 고액의 현금을 여러 차례 주고받았다면서도 돈을 언제 어디서 주고받았는지는 두 사람 모두 ‘기억나지 않는다’고 진술했고, 처음 돈이 입금되기 시작한 시점은 이들이 알고 지낸 지 불과 1개월이 지난 때여서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임 씨의 통장에 입금된 ‘수상한 돈’이 경찰 수사 과정에서 추가로 확인되자 임 전 고문과 임 씨는 이에 맞춰 서로 주고받은 액수를 높여서 진술을 바꾸기도 했다.

경찰은 이런 정황을 근거로 임 씨가 뇌물죄 처벌을 면하려고 거짓말을 했고 임 전 고문도 이를 도왔다고 판단했다.

임 씨가 재벌가 사위인 임 전 고문으로부터 호의로 돈을 빌렸다면 처벌을 면할 수 있고, 임 전 고문도 공무원 업무와 관계없이 돈을 건넸다면 처벌받지 않기 때문에 임 씨를 위해 거짓말을 해줬다는 것이 경찰의 판단이다.

일각에서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중구 장충동에 한옥 호텔 건립을 추진하며 남편인 임 전 고문을 통해 로비했다는 의혹도 제기했지만, 경찰은 “당시는 임 전 고문이 이미 삼성그룹과 관련 있는 일을 할 입장이 아니었다. 한옥 호텔 관련 로비를 하려면 중구청이 아닌 서울시에 로비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임 씨는 2014∼2017년 신축·증축·용도변경 등 인허가를 해 주는 대가로 건축 설계·감리업체 대표들로부터 총 1억4천여만원을 받은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로 구속됐고, 임 전 고문은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문제는 경찰 수사 결과로도 몇몇 의혹이 해소되지 않았다는 데 있다.

경찰에 따르면 임 전 고문은 2013년 9월 사촌의 친구로부터 임 씨를 소개받아 친분을 쌓았다. 임 전 고문의 사촌은 과거 서울의 다른 구청에서 임 씨와 함께 근무한 인연이 있다. 친분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수차례 압수수색을 당하면서까지 거짓 진술을 해 줬다는 점은 선뜻 이해하기 어렵다.

임 씨의 통장에서 발견된 7억5천만 원 가운데 뇌물로 확인된 금액을 제외한 나머지 6억여 원의 출처도 확인하지 못한 부분이다. 경찰 관계자는 “현금이 오간 뇌물 사건의 특성상 모든 걸 밝히기 어려웠다”며 사실상 이번 수사의 한계를 인정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