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제공

전 세계를 감염의 공포로 몰아넣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형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제공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제공
이를 통해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탄력을 얻게 됐다..
보건연구원은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개발에 필수적인 코로나19 항체 탐지용 단백질 제작에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를 이용하면 회복기 환자 혈액에 존재하는 중화항체 생산 세포(B세포)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 돼 코로나19 바이러스 항체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건연구원은 설명했다.
중화항체는 코로나19를 무력화하거나 소멸시킬 수 있는 항체다.
보건연구원은 그간 완치자의 혈액을 확보해 면역형광검사법(IFA)을 확립했다.
보건연구원은 앞으로 다양한 코로나19 항원 단백질을 정제하고 중화시험법을 확립해 치료제의 효능을 평가할 예정이다.
보건연구원은 치료항체 개발, 백신 후보물질 발굴, 임상역학 및 혈청학적 연구, 약물 사용범위 확대 연구, 신속진단제 개발 등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고 학계·기업 등과 협력 연구로 개발을 촉진하고 있다.
앞으로 추경 예산을 확보해 치료제와 백신 연구용 동물모델 개발, 회복기 환자 혈장을 이용한 혈장치료제 개발에 힘쓸 방침이다.
국가 바이러스·감염병연구소를 설립하기 위한 기획과제도 추진할 예정이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