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인적 끊긴 마포쉼터
정의기억연대(정의연)의 회계부정·쉼터 고가매입·기부금횡령 의혹 등을 수사해온 검찰이 14일 수사 개시 4개월 만에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정의연 전 이사장)과 정의연 간부 한 명을 재판에 넘겼다. 사진은 정의연이 운영하다 지난 7월 운영이 잠정 중단된 서울 마포구 마포쉼터의 모습.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이날 서울신문과 통화에서 이 할머니를 모시는 한 측근은 “30년을 지낸 사람이 기소됐으니 좋을리만은 없다”면서도 “할머니는 처음부터 본인이 용서한다고 끝날 일이 아니고, 잘못 운영해서 문제가 있다면 법이 알아서 해달라는 뜻이었다”고 말했다. 다만 “정의기억연대(정의연)는 한 사람의 것이 아니고 모두의 것이니 (정의연과 화해하고 함께 한다는) 할머니의 뜻은 그대로”라고 덧붙였다.
앞서 이용수 할머니는 지난 5월 두 차례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정의연 전신)가 무슨 권리로 위안부 피해자를 이용하느냐”면서 “(정대협은) 위안부 할머니를 팔아먹었다. 왜 내가 팔려야 하느냐”고 말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92) 할머니의 며느리 조모씨는 “(수사가 늦어져) 걱정했다”면서 윤 의원 기소 등에 대해 “만족할 수는 없지만 감사한 일”이라고 말했다. 치매를 앓고 있는 길 할머니는 지난 6월 정의연이 운영하는 마포 쉼터를 떠나 인천에 있는 양아들 황모 목사 집으로 옮겼다.
이날 검찰은 길 할머니의 심신장애를 이용해 7920만원을 기부·증여하게 한 혐의로 윤 의원을 기소하자, 윤 의원은 “해당 할머니의 정신적·육체적 주체성을 무시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조씨는 “최근 인근 병원에서 어머니의 치매 정밀 검사를 했더니 의사가 ‘어머니의 판단력이 10%밖에 남지 않았다’고 했다”면서 “어머니를 모시면서 치매 진단 등급을 받지 않았다는 말을 하는 것은 직무유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조씨는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을 멀리 모시고 다니고, 유언장까지 쓰게 하고 공개한 것이 가장 마음이 아프다”면서 “정의연에서 잘못을 인정하고 용서를 구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