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울 1인가구 62.8%, 계속해서 1인 가구로 살고 싶어

서울 1인가구 62.8%, 계속해서 1인 가구로 살고 싶어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20-11-25 11:23
업데이트 2020-11-25 11: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시 1인가구 10명 중 6명은 계속해서 1인가구로 살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해 서울 1인가구의 비율은 130만 가구로 40년 만에 16배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25일 서울시 1인 가구 5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의 40.9%는 서울시가 1인가구가 살아가기에 적합한 사회라고 생각했다. 62.8%는 계속해서 1인 가구로 남기를 원했다. 1인 가구로 가장 만족스러운 점은 73.1%가 간섭받지 않는 독립된 생활을 꼽았다. 이어 나 자신을 위한 투자·지출 가능(31.1%), 효율적인 시간 활용(30.3%) 순이었다.

서울시 1인 가구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책으로는 주거안정지원이 55.0%, 기본소득지원 31.1%, 연말정산 소득공제 범위 확대 19.3% 등의 순이었다. 여성과 20대, 60대는 ‘방범·치안 등 안전 확보’에, 40대 이상은 ‘고독사 예방 등 사회적 관계망 지원’, ‘건강보험료 지원’에 관심을 보이는 등 성·별 연령별로 1인 가구 정책수요의 특성을 보였다.

또한 서울시가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와 장래가구특별추계, 직접 시행한 시민 1000명 대상 설문조사 등을 종합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지역 1인 가구는 약 130만 가구로 1980년(8만2000가구) 대비 40년 만에 약 1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인구는 199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1995년 1023만 1217명, 2000년 989만 5217명, 2005년 982만 171명, 2010년 979만 4304명, 2019년 963만 9541명, 올해는 960만 1693명으로 지속적으로 줄어들었다. 반면 1인 가구는 2010년 85만 4606명, 2015년 111만 5744명, 2017년 118만 540명, 2018년 122만 9421명, 2019년 129만 9787명, 올해는 126만 9499명으로 증가하고 있다.

서울의 전체 가구수는 2028년까지 증가하다 2029년부터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1인 가구수는 2038년까지 계속 증가하다 2039년부터 전체 인구 감소에 따라 1인 가구수도 함께 줄어들 것으로 추계됐다. 다만 전체가구수 대비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47년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한편 1인 가구는 40대를 기점으로 생활상이 변화하는 모습이었다.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주의 상용직 비율은 30대까지 1%포인트 이내의 차이만 보이다가 40∼44세 구간에서 각 70.5%, 82.9%로 10%포인트 이상 벌어졌고 65세 이상 구간에 이를 때까지 최소 5%포인트 이상의 격차가 이어졌다.

재정 상태 만족도, 사회생활 행복도, 건강 상태 만족도 등에서도 1인 가구는 40대부터 다인 가구주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사회관계성 비교에서는 대부분 연령대에서 1인 가구가 다인 가구주보다 낮은 성향을 보였다. 아플 때 보살펴 줄 수 있는 사람, 갑자기 금전적 도움이 필요할 때 돈을 빌려줄 수 있는 사람,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할 수 있는 사람, 문화활동방문 경험율 등을 물었을 때 1인 가구의 연령대별 그래프는 다인 가구주보다 낮게 위치했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1인 가구 정책은 성·연령·직업 등 가구의 특성에 따라 정책수요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생애주기별 복지정책 수립과 궤를 같이 한다고 판단된다”며 “서울시는 1인 가구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으로 다양해지는 정책수요를 지속적으로 파악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