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수 할머니. 서울신문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2/15/SSI_20210215164156_O2.jpg)
![이용수 할머니. 서울신문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2/15/SSI_20210215164156.jpg)
이용수 할머니. 서울신문DB
페이스북 통해 실시간 중계될 예정
내일 서울 프레스센터서 기자회견도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오는 17일 미국 하버드대 학생들이 여는 온라인 세미나에서 위안부 피해에 대해 증언한다.
이 할머니의 한 측근은 하버드대 아시아태평양 법대 학생회(APALSA)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자발적 ‘매춘부’라고 규정한 존 마크 램지어 교수의 역사 왜곡을 바로잡기 위해 여는 온라인 세미나에서 할머니가 자신의 피해를 증언하기로 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할머니는 역사 왜곡을 바로잡으려는 현지 학생들의 요청에 증언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증언은 페이스북을 통해 실시간 중계될 예정이다.
아울러 이 할머니는 16일 위안부 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ICJ)에 넘길 것을 정부에 촉구하는 취지로 기자회견을 연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ICJ회부 추진위원회 관계자는 “16일 오전 11시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이 할머니의 기자회견이 열린다”며 “이 자리에서 위안부 문제를 국제법에 따라 피해자 중심으로 해결할 것을 촉구하고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를 위한 국민의 지지를 호소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 할머니의 기자회견은 지난해 5월 정의기억연대 회계 부정 의혹 폭로 이후 약 9개월 만이다.
![2020년 5월 25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시설인 ‘나눔의 집’추모공원 벽면에 시민들이 남긴 추모 메시지들이 붙어 있다. 오른쪽은 조선 위안부는 성노예가 아닌 모두 공인된 매춘부라고 논문에서 주장한 존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2/05/SSI_20210205203212_O2.jpg)
![2020년 5월 25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시설인 ‘나눔의 집’추모공원 벽면에 시민들이 남긴 추모 메시지들이 붙어 있다. 오른쪽은 조선 위안부는 성노예가 아닌 모두 공인된 매춘부라고 논문에서 주장한 존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2/05/SSI_20210205203212.jpg)
2020년 5월 25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지원시설인 ‘나눔의 집’추모공원 벽면에 시민들이 남긴 추모 메시지들이 붙어 있다. 오른쪽은 조선 위안부는 성노예가 아닌 모두 공인된 매춘부라고 논문에서 주장한 존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 연합뉴스
램지어 교수는 조선인 위안부와 일본인 위안부가 모두 공인된 매춘부이고 일본에 의해 납치돼 매춘을 강요받은 ‘성노예’가 아니라고 논문에서 주장했다. 그는 당시 일본 내무성이 매춘부로 일하고 있는 여성만 위안부로 고용할 것을 모집업자에게 요구했으며 관할 경찰은 여성이 자신의 의사로 응모한 것을 여성 본인에게 직접 확인함과 더불어 계약 만료 후 즉시 귀국하도록 여성에게 전하도록 지시했다고 논문에 기술했다.
해당 논문이 공개되자 하버드대 한인 학생회가 즉각 성명을 내며 반박했고, 정치권과 학계까지 비판에 가세했다.
공화당 소속인 영 김(한국명 김영옥·캘리포니아) 연방 하원의원은 지난 11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램지어 교수의 주장은 진실이 아니고, 사실을 오도할 뿐 아니라 역겹다”고 비판했다. 램지어 교수의 논문을 게재하기로 한 국제 학술 저널도 우려를 표명하고 자체 조사에 착수했다.
![2019년 8월 14일 소녀상을 어루만지는 이용수 할머니의 모습. 서울신문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1/24/SSI_20210124182959_O2.jpg)
![2019년 8월 14일 소녀상을 어루만지는 이용수 할머니의 모습. 서울신문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1/24/SSI_20210124182959.jpg)
2019년 8월 14일 소녀상을 어루만지는 이용수 할머니의 모습. 서울신문DB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