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경보 문자’ 역할 톡톡…치매 노인들 무사 귀가

‘실종경보 문자’ 역할 톡톡…치매 노인들 무사 귀가

임송학 기자
임송학 기자
입력 2021-09-23 10:39
수정 2021-09-23 14: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추석 연휴 실종 노인 경보문자 덕에 가족 품으로

추석 연휴 기간 실종된 치매 노인들이 실종경보 문자를 받은 시민들의 제보로 무사히 가족 품으로 돌아갔다.

23일 전북경찰청에 따르면 전날 오전 11시 40분 A(85)씨 가족으로부터 “치매를 앓는 아버지가 집을 나가 돌아오지 않는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경찰은 실종된 장소 주변 폐쇄회로(CC)TV 등을 분석해 수색 작업을 벌이는 동시에 실종 경보 문자를 일대 주민들에게 발송했다.

문자가 발송된 지 1시간여 만에 A씨를 보호하고 있다는 한 배달원의 신고가 접수됐다. 출동한 경찰은 A씨를 가족에게 무사히 인계했다.

앞서 지난 21일 오전 6시 30분에도 성묘를 하러 가족과 함께 전주를 방문한 중증 치매 노인 B(83)씨가 혼자 숙소를 나갔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경찰은 실종 신고 14시간여 만인 오후 9시 10분 덕진구 인후동의 한 고등학교 근처에서 “할머니 한 분이 배회하고 있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해 B씨를 가족에게 인계했다.

광주 북구 두암동에서도 70대 남성 치매 노인 C씨가 실종됐다는 부인의 신고가 접수됐다.

C씨는 추석 연휴 마지막 날 부인과 함께 텃밭에 나갔다가, 홀로 이탈해 실종됐다.

경찰은 A씨 가족의 동의를 얻어 사진과 인상착의를 토대로 ‘실종자를 찾는다’는 실종 경보 문자를 광주지역에 발송했다.

C씨가 실종된 지 6시간여 만에 북구 각화동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비슷한 인상착의의 노인을 봤다는 주민의 제보가 접수돼 경찰은 오후 8시 30분께 A씨를 무사히 찾았다.

경찰 관계자는 “실종 경보를 통해 목격자를 찾아 치매 노인 실종자를 발견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실종경보 제도를 활용해 실종자를 찾겠다”고 밝혔다.

경찰청은 지난 6월 9일부터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실종자의 정보를 전송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