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코로나19이후 행복감은 하락, 사회통합인식은 상승

코로나19이후 행복감은 하락, 사회통합인식은 상승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2-02-19 10:00
업데이트 2022-02-19 1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회적 거리두기의 여파로 사람들끼리 모이는 일조차 쉽지 않다. 평범한 일상의 중단은 우울감을 더하는 요인이다. 지난해 8월 20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거리의 골목의 상점들이 거의 폐업해 한산한 모습이다.  연합뉴스
사회적 거리두기의 여파로 사람들끼리 모이는 일조차 쉽지 않다. 평범한 일상의 중단은 우울감을 더하는 요인이다. 지난해 8월 20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거리의 골목의 상점들이 거의 폐업해 한산한 모습이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이후 주관적 행복과 삶의 만족도는 하락한 반면, 사회통합인식은 오히려 크게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코로나19 발생 전후 삶의 만족도와 사회통합 인식의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으로서의 자부심’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2.82~2.88점으로 2.9점을 넘지 않는 수준이었으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인 지난해에는 2.96점으로 껑충 뛰었다.

이 기간 전반적인 사회통합 수준과 사회적 신뢰도 또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통합도에 대한 평가는 2016년 4.18점, 2018년과 2019년 각 4.17점으로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지난해는 4.59점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사회에 대한 신뢰도도 지난해 5.37점으로 2016년 이래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다만 사회적 신뢰 상승이 개인간의 대인 신뢰도 상승으로 이어지진 않았다.

사회자본은 2017년에 비해 지난해 더 약화됐다. 지난해는 전반적인 사회적 지지(5.67점)는 물론, ‘아플 때 도움을 줄 사람’(78.5%), ‘갑자기 큰돈을 빌려줄 사람’(64.8%), ‘우울할 때 이야기를 나눌 사람’(89.5%)이 있는 사람의 비율이 감소했다.

특히 20~30대 청장년층, 비경제활동인구, 소득 2~5분위, 중하층과 중간층에서 사회적 지지 하락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조사를 한 여유진 복지국가연구단 선임연구위원은 “사회적 지지와 사회자본은 어려운 시기일수록 더 빛을 발하지만, 현실에서 재난 시기에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원이 줄었다는 것은 우려되는 점”이라고 말했다.

행복감, 삶의 만족도, 우울감 역시 악화됐다. 무엇보다 2019년에 비해 지난해 자영업자의 행복도와 삶의 만족도가 가장 크게 하락하고 우울감 상승폭도 가장 컸다. 자영업자의 소득 감소 경험은 다른 경제활동 집단보다 커서 코로나19로 인해 26.6%가 10~30%대, 46.4%가 40% 이상의 근로소득 감소를 경험했다. 소득이 40% 이상 감소한 임시·일용 노동자와 자영업자의 우울 점수는 각각 4.19점, 3.72점으로 소득 감소가 없었거나 30%대 이하로 감소한 사람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여 선임연구위원은 “위기 국면에서 결집 효과로 높아졌던 응집력과 신뢰도는 위기가 사라지거나 국면이 전환될 때 원상복구되는 경향이 있다”며 “특히 개별화된 경향이 오래 지속된다면 사회 통합에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현정 기자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